삼성전자-한국은행, 오프라인 CBDC 기술연구 ‘맞손’
“삼성 기기에 탑재된 eSE 칩셋, 글로벌 최고 수준 보안성”
“CBDC, 민간 암호화폐와 달리 디지털경제 신뢰도 높여”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오프라인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기술 연구에 삼성전자와 한국은행이 참여하며 속도가 붙었다.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인터넷이 끊긴 환경에서도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결제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한국은행과 오프라인 CBDC 기술연구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15일에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한국은행이 발행하는 CBDC 연구를 지속하는 한편, 오프라인 결제 부문에서도 협력할 계획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한국은행이 진행한 'CBDC 모의실험 연구'의 2단계 사업에 참여한 바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당시 2단계 연구에서는 CBDC를 활용한 지급서비스(오프라인 거래, 국가 간 송금 등) 및 정책 지원 업무(이자 지급, 압류 등) 확장 기능을 구현하는 한편, 영지식 증명 기술 등 최신 기술의 CBDC 적용 가능성을 점검했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는 송금인과 수취인의 거래 기기가 모두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근거리 무선 통신(NFC)을 통해 기기 간 송금과 결제가 가능하게 하는 오프라인 CBDC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성공했다.
송금과 결제는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보안 칩셋(eSE, embedded Secure Element)내에서 이뤄진다. 해당 칩셋은 보안 국제 공통 평가 기준 CC(Common Criteria)에서 EAL(Evaluation Assurance Level) 6+ 등급의 하드웨어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한다.
회사 측은 송금과 결제가 삼성전자 모바일 기기에 탑재된 보안 칩셋(eSE, embedded Secure Element) 내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보안도 뛰어나다는 입장이다. 회사는 “이 칩셋은 보안 국제 공통 평가 기준 CC(Common Criteria)에서 EAL(Evaluation Assurance Level) 6+ 등급의 하드웨어 인증을 획득해 글로벌 최고 수준의 보안성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추후 양사는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폰과 워치 등을 활용해 오프라인 결제 시 우려되는 보안위협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또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재난상황에서도 안정적인 결제를 지원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해나간다.
삼성전자 MX사업부 개발실장 최원준 부사장은 "한국은행과의 협업을 통해 삼성전자가 보유한 고도의 보안 기술력을 디지털 화폐 분야에 적용해 볼 수 있었다"며 "양사의 협력을 기반으로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오프라인 CBDC 기술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전세계 중앙은행들은 CBDC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간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의 의의 및 필요성’ 보고서에 따르면 CBDC는 현금 사용 및 관련 인프라 감소 하에서 현금 의존도가 높은 지역 및 계층의 서비스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데이터 및 프라이버시 보호에 기여할 수 있고, 가격 변동성이 높은 민간 암호화폐와는 달리 공적 신뢰를 지닌 지급결제수단으로서의 CBDC는 디지털경제 통화제도의 신뢰도와 건전성을 높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