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대규모 개발사업 예정, 전문가들 설명회도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과기정통부가 정부 차원의 대규모 ‘사이버보안 기술’을 개발키로 하고, 예빙타당성 조사와 함께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해당 사업은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다.
과기정통부는 “최근 챗GPT, 6세대(6G), 양자기술 등 신기술의 발전으로 새로운 보안 위협이 등장하고, 다크웹・가상화폐를 기반으로 랜섬웨어 공격이 상업화되고 있다”면서 “국가 간 분쟁에서도 사이버공격을 활용한 사이버전(戰)이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등 사이버위협의 체계(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고 개발 사업의 취지를 밝혔다.
이에 따라 “사이버위협 대응 체계 또한 기존의 보호나, 탐지 위주의 수세적 방어 형태만으론 부족하다”면서 “위협 행위자의 식별, 사전 예방적 조치 강화 등 보다 능동적・적극적인 형태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사이버보안 체계(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능동대응 기술 개발(R&D)’사업을 벌이기로 했다.
이는 △ 공격 억지, △ 선제 면역, △ 회복 탄력, △ 기반 조성 총 4개 전략 분야를 중심으로 기획되었으며, 사업 기간과 규모는 총 5년간 3,917억 원 규모다.
이같은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 사업을 앞두고, 정부는 이를 소개하는 토론회 겸 설명회를 가졌다. “설명회 결과를 토대로 기획안을 보완하여, 올해 6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공모에 신청할 예정”이란 설명이다.
이날 설명회는 정현철 보안‧블록체인 프로젝트관리자(PM)의 사업 추진 배경 및 목적에 대한 발표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번 사업을 위해 4개 전략 분야별 기획위원회 분과위원장이 새로 임명되었다. △공격억지 분과는 성균관대 김기범 교수, △ 선제면역 분과는 고려대(세종) 김준섭 교수, △회복탄력 분과는 고려대 한희 교수, △ 기반조성 분과는 충북대 김태성 교수가 각각 맡기로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