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통신연구원, ‘역호환 지원 MIMO’, ‘통합공시청’, ‘5G-MBMS 융합’ 기술 등
‘국제 방송 장비 전시회(NAB) 2023’에 출품

사진은 5G 통신 안테나로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은 5G 통신 안테나로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국내에서 개발된 최신 UHD 방송기술 및 5G 융합 송·수신 방송기술이 세계적으로 공개되었다. 이들 기술은 ▲역호환성을 지원하는 미모(MIMO,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다중입력다중출력) 전송 시스템 ▲UHD 및 HD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통합공시청 시스템 ▲다수의 사용자에게 지상파 방송서비스를 제공하는 5G-MBMS 융합 송수신 시스템 등 UHD 방송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핵심기술들이다.

이를 개발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지난 16일부터 미국 라스베가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국제 방송 장비 전시회(NAB) 2023’에 해당 기술을 선보였다. 공식적으론 ‘북미디지털방송표준화기구(ATSC) 3.0 기반기술’로 불리는 이들 기술은 “산업적 활용성이 높고, 향후 북미를 넘어 전 세계적으로 확장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그 중에서 이번에 공개한 ‘역호환성 지원 MIMO 기술’은 무선 통신의 용량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 안테나 기술이다. 즉, 기지국과 단말기에 여러 안테나를 사용하여, 사용된 안테나수에 비례하여 용량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연구원은 “별도의 주파수 자원 추가 없이 채널의 전송 용량을 2배 증가시킬수 있고, MIMO 수신 안테나 TV는 물론, 기존의 단일 수신 안테나 TV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통합공시청 시스템’은 UHD 방송 신호를 HD 방송 신호로 바꾸어줌으로써 UHD TV 사용 가구는 물론, 기존의 HD TV를 사용하는 가구에서도 UHD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다. “덕분에 더 많은 가구가 UHD 방송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5G-MBMS 융합 송수신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 채널 내에서 방송표준인 ATSC 3.0과 이동통신 표준인 5G-MBMS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기술이다. “모바일 기기를 통한 융합 미디어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융합 송수신 시스템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또 8K UHD 영상을 실시간으로 인코딩할 수 있는 ‘8K SHVC 실시간 인코더’도 이번에 선보였다.

이는 수신기 환경에 따라 8K 또는 4K UHD 서비스를 가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은 또 아바타수어 기반의 ‘ATSC 3.0 재난경보 송출시스템’, ‘단말 및 아바타수어 생성 플랫폼’ 등도 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본 기술은 송·수신 시스템 및 방송 앱(Broadcast App) 기술로서, 재난정보를 인지하기 어려운 청각장애인 등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재난경보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