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로메카, 협동로봇 '인디'·산업용 로봇 '아이콘' 선봬
창고 관리 최적화 'ACR', 공간 효율성 극대화
'알레그로 핸드', 저비용 손동작 가능
팔·눈·뇌 역량 종합한 'AI 코봇'으로 차별화
[애플경제 안정현 기자] 이번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 2023'에선 제조현장의 혁신을 주도할 주인공으로 다양한 로봇이 소개돼 눈길을 끌었다. 사람이 하던 위험하고 비효율적인 노동을 로봇이 대신하거나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공정 효율화가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뉴로메카(neuromeka)는 대표모델 '인디(Indy)'를 통해 중소제조기업을 위한 협동로봇을 개발해오고 있다. 협동로봇은 인간과 같은 공간에서 상호작용하며 작업할 수 있는 로봇을 말한다. 회사가 직접 디자인하고 제조한 인디 로봇은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한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자율이동로봇(AMR) 플랫폼 '모비(Moby)'를 인디에 탑재해 인디의 활동 영역과 용도를 넓혔다. 특히 2자유도 스티어링 바퀴 모듈 4개가 구동력의 편차를 줄여 전방향 구동 방향 제어성이 탁월해졌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라이다(LiDAR)와 3D센서도 부착돼 장애물을 피하며 목적지까지 정확하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아울러 인디의 안전함과 편리성의 장점을 적용시킨 뉴로메카의 고성능 산업용 로봇 '아이콘(ICoN)'도 전시장에 마련됐다. 상태 표시등, 레이저 스캐너 등 안전 장치를 추가로 장착해 기존의 산업용 로봇에서 기대할 수 없었던 안전성을 구현했다. 협동로봇 대비 2.3배 빠른 속도의 아이콘은 회사가 독자 개발한 협동로봇 프로그래밍 전용 티치펜던트 앱 '콘티(CONTY)'로 작동된다.
하이로보틱스(HAI Robotics)의 자율 케이스 핸들링 로봇(ACR)은 높은 곳에 있는 토트박스를 단숨에 옮기는 장면을 연출해 시선을 사로잡았다. 세계 최초로 ACR 시스템을 선보인 하이로보틱스는 현재 창고 관리 자동화에 집중하고 있다. 아울러 주문 받은 물건을 인간이 직접 현장을 돌아다니며 피킹하는 'Person-to Goods(PTG)' 방식에서 벗어나 로봇이 직접 작업자에게 물건을 가져다주는 'Goods-to-Person(GTP)'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전시장에 마련된 회사의 텔레스코픽형 다단 적재 로봇인 '하이픽 A42T' 모델은 최대 30kg 무게의 화물을 10m 높이까지 보관·피킹할 수 있다. 화물을 쌓아올리는 방식이기에 기존보다 높은 공간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다른 리프트형 로봇 ‘하이픽 A3’ 모델은 타이어·일반 트레이·폼박스는 물론 분진·정전기 방지 기능 확보로 회로기판 같은 화물도 문제없이 취급할 수 있다.
자율주행로봇(AMR), 디지털트윈 등으로 물류 자동화 기술을 연구하고 있는 원익로보틱스(WONIK Robotics)는 이번 전시장에서 '알레그로 핸드(Allegro Hand) 4지 그리퍼(Grripper)'를 공개했다. 이 로봇 핸드는 손가락 4개와 관절 16개를 움직일 수 있다. 가볍고 휴대하기 간편한 구조로 설계된 이 로봇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한 저비용 손동작 조작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와 함께 그래스핑(grasping)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물체의 형상을 처리할 수 있다.
AI 기술을 적용해 기존 협동로봇 수준을 초월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테크맨(Techman)의 'AI 코봇(Cobot)'도 주목을 받았다. 이미지 데이터 관리부터 모델 학습까지 총망라한 AI 소프트웨어 도구를 로봇 팔과 머신 비전에 모두 적용, 팔(로봇)·눈(머신 비전)·뇌(AI)의 강력한 조합을 구축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AI 코봇은 용접, 식음료 제조, 팔레타이징, 자동광학검사(AOI)에 등 복잡한 일도 해낼 수 있다. 특히 테크맨의 비전 기술을 통해 작업자는 로봇 좌표가 변해도 따로 조정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AI를 통한 이미지 분류·물건 탐지가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