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전문가로 ‘특별점검단’ 구성, 정보보호예방·대응 체계, 문제점 등 점검
“미흡ㆍ미온적 대응에 강력 경고, 책임있는 시정조치와 조치 이행 요구”
[애플경제 박문석 기자]새해 들어 LG유플러스가 연거푸 사이버 공격을 당하고 사용자들의 피해가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이 회사에 대한 긴급 특별 점검에 나섰다.
5일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최근 LG유플러스를 대상으로 하는 잇따른 사이버 공격 등으로 고객정보 유출, 인터넷 접속 장애 등의 국민 피해가 커지고 있다”면서 “이에 기존의 ‘민관합동조사단’을 ‘특별조사점검단’으로 확대․개편하여 LG유플러스의 사이버 침해 예방과 대응, 관련 보안정책 등 전반적인 정보보호 대응체계를 신속히 심층 점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과기부 등은 LG유플러스의 이미 금년 연초에 있었던 고객정보 대량 유출을 중대한 침해사고로 판단, 1월 11일부터 현장조사에 들어갔다. 원인분석과 재발방지 대책방안을 찾아내기 위해 디지털포렌식 등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민관합동조사단’을 운영해 왔다.
그러나 이 회사는 지난 1월 29일에 사이버 공격을 당한데 이어 2월 4일에도 다시 디도스(DDoS) 공격을 당했다. LG유플러스 정보통신망에 대한 디도스 공격으로 인해 유선 인터넷 등 이용 일부 고객의 접속 장애가 반복되었다.
1월 29일 당시 새벽부터 LG유플러스에 대한 디도스 공격은 모두 3차례 이어졌고, 이로 인해 약 63분 간 장애가 이어졌다. 2월 4일엔 또 다시 오후 5시경부터 디도스 공격이 가해져, 약 59분 동안 일부 지역에서 2차례 인터넷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보다 심층적으로 LG유플러스의 정보보호 예방 대응 체계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다수의 민간 보안 전문가가 포함된 ‘특별조사점검단’을 2월 6일부터 운영하기로 하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이번 ‘특별조사점검단’은 최근 침해사고의 종합적인 원인분석과 함께 LG유플러스의 사이버 침해 예방과 대응의 전반적인 체계와 관련 문제점을 집중 점검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치방안과 개선대책을 조속한 시일 내에 제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점검단은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이 지휘하되, 인터넷진흥원과 네트워크보안, 모의해킹, 디지털포렌식, 침해사고 분석 등 국내 보안 전문가로 구성된다.
과기정통부는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인 LG유플러스가 이러한 디도스 공격에 연달아 인터넷 접속 장애까지 발생하여 기본적인 침해 대응체계가 미흡한 것에 대해 LG유플러스 경영진에게 강력히 경고할 것”이라며 “‘특별조사점검단’을 통해 실효성 있는 조치방안을 마련하여 LG유플러스가 조치방안 이행계획을 확실히 이행할 수 있도록 점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특별조사점검단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LG유플러스에 책임 있는 시정조치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조치 이행을 요구할 것”이라며 “반복된 침해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요 정보통신사업자의 침해사고 대응체계를 개편하는 등 법령 개정을 포함한 제도 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