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지역 내 감염 전파 양상 모형, 데이터 정제 ‘빅데이터 플랫폼’ 등
질병관리청,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민간기업 등 15개 기관 참여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정부와 업계, 학계 등 전문가 집단들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코로나 19’ 방역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래블업 주식회사, 길의료재단 등 국내 출연연구기관, 인공지능 기업, 병원 등 15개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18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질병관리청 등에 따르면 이들은 비말 확산 저지와 거리두기 등에 관한 AI솔루션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민간기업인 래블업(주)은 개인 간 ‘비말 확산 모형’을 개발했다. 이는 감염 예방을 위해 개인 간의 최소 거리두기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은 ‘공간 내 감염 전파 양상 모형’을 개발했다. 이는 특정 유형과 면적의 공간 내 체류 안전 인원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길의료재단은 공동체의 ‘감염 유행 예측 모형’을 개발했는데, 이는 신종 감염병이 확산할 경우 그 유행 시기와 규모, 중재전략별 유행곡선을 제시하고 있다.
역시 민간기업인 ㈜미소정보기술은 지역적으로 각기 다양한 ‘빅데이터 기반 시각화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지역별 감염 확산 현황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통합 감염병 위험 지수’를 개발했는데, 이는 모임 횟수가 줄어듬에 따른 예상 감염 감소폭 등을 제시한 것이다.
이같은 솔루션 개발과 함께 데이터 구축을 위해 플랫폼 주관기관(한국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10개 센터가 방역, 응급의료, 경제활동 등 감염병 관련 데이터를 축적‧개방하고 있다. 2024년까지 약 150종 이상의 데이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2023년부터 2024년까지 감염병 조기경보와,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 데이터 다층 시각화, 최적 응급병상 탐색 등의 시스템을 발굴·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코로나19 정보를 연계·정제하고,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과학과 데이터에 기반한 방역 조치에 활용할 것”이라는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설명이다.
이에 따르면 국민적 관심도와 연구 가치가 높은 코로나19 데이터를 정제하여 외부에 개방하고,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이를 위한 데이터를 정제하기 위해 확진자 파악, 검사, 예방접종 등 질병청이 수집한 코로나19 정보를 정제하여 빅데이터화한다. 이는 다시 ‘계기판 형태의 통계로 가공되어 일반에게 제공되며, 연구분석용 가명정보 형태의 데이터(연구용)를 제공할 수도 있게 한다. 연구분석용 가명정보는 이름이나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식별정보를 삭제하여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처리한 것이다.
연말까지 계기판형 누리집을 개통한 후, 정보 반출절차를 수립하는 등 민․관 감염병 연구·분석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 이달 중에 여러 기관이나 학회 등에 산재된 코로나 19 관련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하여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정보시스템을 이관한다.
계기판형 누리집은 연말까지 개통하되, 원하는 조건에 따른 방역지표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맞춤형 통계 기능을 제공한다. 대표적인 방역지표는 ‘코로나19’ 발생, 사망, 접종, 검사 등을 망라한다. 정보 반출절차도 내년 3월까지 수립한다. 이는 연구분석용 원천정보 제공을 위해 정보 제공범위나, 심의위원회 운영 방안, 정보 분양절차 등을 망라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