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이동통신, 드론 등 밀집 데이터 수집 사전 경보”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이른바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인파 밀집위험 사전 경보 시스템이 마련될 예정이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동통신 3사, 교통기관 등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 밀집도를 분석, 점검한다. 또 위험 상황(‘주의’ 단계)이 감지되는 경우, 지자체에서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등으로 현장 상황을 확인하여 경찰, 소방 등 관계기관에 상황을 전파하도록 고, 밀집 인파에게 재난문자 등으로 알릴 수 있는「현장인파관리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행안부는 10일 인파사고 예방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민․관 합동회의를 개최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서는 최신 정보통신기술 기반으로 군중 인파사고를 예방하고 대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민․관 전문가들이 여러 방안을 검토했다.
이 자리에선 특히, 이동통신 3사의 기지국 기반 위치신호데이터(유동 인구), 교통기관의 대중교통데이터, 지자체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 등을활용한 ‘현장인파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이 집중 논의되었다.
법령과 제도 개선도 논의되었다. 즉 “공공 안전을 위해 기지국의 위치신호데이터를 수집하고 빅데이터분석과 제공을 위해「재난안전법」을 개정하고, 폐쇄회로 텔레비전이나 드론 영상의 밀집도를 자동분석하는 기술을 연구개발(R&D),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되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민관 합동회의에서 나온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반영, 다중 밀집 인파 관리도 데이터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수행하여 인파사고 재발을 방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이동통신 3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행정연구원, 지능정보화사회진흥원, 교수 등 학계와 민간 전문가와 과기정통부, 서울시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