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틱톡, 페이스북, 유튜브 등엔 거짓과 선동, ‘트럼프주의’ 넘쳐나
공화당 “우리 당 유리한 이메일 스팸 처리”, 구글 이메일 문제삼아 ‘고소’
온갖 허위정보, 루머 SNS에 난무, 메타, 틱톡, 유튜브 등 ‘선거 대응 지침’ 등 부심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미국의 11월 중간선거가 다가오면서 페이스북, 틱톡,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들이 선거와 관련된 온갖 잡음에 시달리고 있다. 또 구글은 공화당쪽에 유리한 이메일을 고의로 삭제하는 등 편파적인 태도를 취한다고 해서 고소를 당하는 등 빅테크와 소셜미디어들이 선거 국면에서 홍역을 치르고 있다.

AP통신은 “투표가 마감되기 3주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양극화와 불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비난받는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빅테크들의 약속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에는 투표와 선거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넘쳐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트위터, 틱톡, 페이스북,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들은 투표를 왜곡하거나 심지어 폭력적인 대립으로 이어질 수 있는 유해한 주장을 탐지하고 막기 위해 작업을 확장했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하며 “그러나 실제로 일부 SNS 리뷰를 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온갖 거짓과 선동이 난무하며, 2020년 미국 국회의사당 난동과 같은 행동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처럼 중간선거가 다가오면서 각종 SNS를 비롯한 디지털 매체엔 선거 관련 루머나 주의, 주장들이 난무하고 있다. 24일 AP통신에 의하면 미 공화당전국위원회(우리의 중앙당)는 전자 메일 스팸 필터를 놓고 구글을 고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화당은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거대 기술기업 구글이 (공화당과 관련된) 이메일을 스팸 처리하도록 유도하고 있다”면서 고소했으나, 구글은 이를 부인하고 있다.

지난 21일 캘리포니아 동부지방법원에 제기된 고소장에서 공화당은 “(구글의) G메일이 사용자의 스팸 폴더에 (공화당 관련) 이메일을 부당하게 전송함으로써 고의로 ‘차별’한다”고 비난하면서 “그로 인해 치열한 경합이 벌어지고 있는 주에서 모금이나 투표권 행사를 방해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고 주장했다.

로나 맥다니엘 공화당 전국위 회장은 “구글은 10개월 연속으로 공화당의 ‘GOTV’와 모금 이메일을 아무런 설명도 없이 스팸으로 보냈다. 우리는 이 명확한 편견의 패턴을 끝내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AP통신 등에 보낸 성명을 통해 밝혔다.

그러나 구글도 성명을 통해 혐의를 부인했다. 구글은 “우리가 반복적으로 말했듯이, 우리는 단순히 정치적 의도에 따라 이메일을 필터링하지 않는다. ‘Gmail’의 스팸 필터는 사용자들의 행동을 반영할 뿐”이라면서 “본사는 선거에 대한 유의사항과 지침을 제공할 뿐, 사용자들이 싫어하는 스팸을 최소화하면서, 이메일 전달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페이스북, 틱톡,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들도 중간선거를 앞두고 “투표와 선거에 대한 잘못된 정보가 확산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이들 플랫폼에도 선거 부정에 대한 근거 없는 주장이 계속 번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페이스북에선 ‘선거 부정행위’라는 단어 검색이 넘쳐나는가 하면, “민주당이 다음 달 중간선거를 조작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기사를 링크시킨 사이트도 여럿이다. 일부에선 “2020년에 일어난 ‘사기’(트럼프가 바이든에 패배한 대선)에 여전히 화가 나 있어야 한다”며 트럼프의 출마를 부추기는 주장들도 난무하고 있다. 실제로 미디어 정보업체 지그널랩스가 AP통신을 대신해 실시한 소셜미디어, 온라인, 방송 콘텐츠 분석에 따르면 최근 몇 달간 ‘도둑맞은 선거’나, ‘유권자에 대한 사기’ 등과 같은 언급이나 단어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선거에 대한 음모론을 증폭시키는 트윗이 수천 건 게시되고 있다.

틱톡도 선거를 앞둔 잡음과 논란에 휩싸였다. 즉 틱톡이 허외 과장 광고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본래 틱톡의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을 유인하기 위해 출중한 비디오 검색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정가 노골적인 편파 광고나 악의적인 루머를 감지하는 능력은 형편없다”는 보고서가 나오기도 했다.

애초 틱톡은 지난 2019년 플랫폼에서 모든 정치 광고를 금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영리 단체인 ‘글로벌 위트니스’와 뉴욕대 ‘민주주의를 위한 사이버보안’ 팀은 이같은 내용으로 틱톡 알고리즘의 허점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는 다음달 중간선거를 앞두고 페이스북, 유튜브, 틱톡 등 글로벌 소셜 플랫폼 중 일부가 미국 유권자들을 겨냥한 허위 정치광고를 적발해낼 수 있는 기능을 검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르면 또 “사람들이 언제 어떻게 투표할 수 있는지, 선거 결과가 어떻게 집계되는지와 같은 투표 과정에 대한 잘못된 정보나 광고도 들어있다”면서 “이런 허위 정보나 광고는 투표가 ‘조작’된다거나, ‘선거일 전에 결정된다’는 등 근거 없는 주장을 퍼뜨림으로써 민주적 절차에 대한 불신을 심어주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지적했다.

유튜브는 이같은 상황에 접하자 별도 성명을 통해 “본사는 정책을 위반하는 콘텐츠를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중간선거를 면밀히 감시하고 있다”면서 “선거일을 앞두거나, 선거 기간 동안, 그리고 선거 후에도 경계를 늦추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소유주인 메타는 “지난 주에 선거에 관한 잘못된 정보와 싸우기 위한 실시간 노력을 감독하는 선거 지휘 센터를 재개설했다”고 발표했다. 또 “선거 국면에 대응하기 위한 인력을 감축했다”는 일부 보도를 부인하면서 “본사는 40개 이상의 팀과 수백 명의 사람들에 걸쳐 작업을 하는 등 상당한 인적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고 밝혔다. 메타는 또 “이번 주부터 ‘선거 부정행위’ 등 선거 관련 키워드를 이용해 페이스북을 검색하면 신뢰할 수 있는 투표자원에 대한 링크가 있는 팝업창이 자동으로 뜬다”고 덧붙였다.

틱톡 역시 “미국 유권자들이 투표 등록 방법과 투표에 누가 참여하는지 배울 수 있도록 선거센터를 만들었다”면서 “이 정보는 영어, 스페인어 및 45개 이상의 다른 언어로 제공된다.”고 소개했다. 또 젊은 유권자들을 위한 주요 정보원이 되기 위해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콘텐츠에 라벨을 붙이기도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틱톡은 “중간선거 국면에서 ‘권위 있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은 선거 오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AP통신에 따르면 앞서 뉴욕대는 보고서를 통해 2020년 선거에 대한 트럼프의 거짓 진술을 증폭시킨 메타, 트위터, 틱톡, 유튜브를 비난했다. 특히 당시의 잘못된 정보와 잘못된 유포 행위를 제어하는 규칙들이 일관성 없이 적용되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래서 “투표와 선거에 관한 잘못된 정보가 범람하는 가운데, 빅테크들의 신중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에 대해 시민단체인 ‘Common Cause’의 미디어 및 민주주의 프로그램 책임자인 요셉 게타츄는 “이러한 플랫폼들은 국내외 ‘민주주의의 적’들에 의해 무기화되었다”면서 “허위 정보와 루머는 특히 트럼프 자신의 플랫폼인 개브, 게트, 트루소셜과 같은 일부 보수층과 극우 단체에게 인기 있는 소규모 플랫폼에서 훨씬 더 널리 퍼져 있다”고 우려했다. 다행히 그런 사이트들은 페이스북, 유튜브, 틱톡에 비해선 미미한 수준이다.

그래서 페이스북 자체 감독위원회는 선거를 앞두고 잘못된 정보의 확산을 줄이기 위해 메타에 대한 7가지 추천 목록을 만들었다. 스페인어와 다른 언어로 유권자를 대상으로 한 잘못된 정보를 걸러내고,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는 당파 사이트와 합법적인 뉴스 매체의 콘텐츠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도 마련했다. 이같은 움직임은 ‘중간 선거’ 회오리 바람에 소셜 미디어들이 휘말리지 않으려는 나름의 자구책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