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경영연구소 정의…새로운 트렌드 용어로 주목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부와 권력의 원천이 되는 시대”
데이터 기반 AI, 머신러닝, 알고리즘으로 ‘슈퍼 리치’ 등장
“정보 주체의 데이터 주권, 기업들의 남용 방지 장치”촉구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부와 권력의 원천이 되는 ‘데이터리즘(Datarithm)’ 시대가 펼쳐지고 있다. 최근엔 ‘데이터리즘’이란 용어가 등장하여, 공감을 얻으며 주목을 받고 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이기홍 연구위원이 처음으로 사용한 데이터리즘은 ‘Data’와 ‘Algorithm’의 합성어다. 원어에 더 충실한 발음으로는 ‘데이터리듬’으로 읽힐 수도 있다. 이는 디지털 시대를 관통하는 이데올로기 차원에서 데이터 경제를 바라본 것이어서 흥미를 불러 일으킨다.
이 연구위원은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IoT 기술 발전 등으로 데이터가 빠르게 증가하며, 이를 활용한 AI 기술은 데이터와 알고리즘이 부와 권력의 원천인 시대를 촉발한다”면서 이를 규정하는 새로운 용어로 ‘데이터리즘’을 제안했다. 이는 아마존, 구글, 애플, MS, 알리바바, 메타 등과 같은 빅테크나 글로벌 기업들이 디지털 시대를 장악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이들 ‘슈퍼 리치’들은 거대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해 만든 알고리즘으로 디지털 시대의 부를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다.
이들 ‘슈퍼 리치’의 등장이야말로 데이터리즘의 대표적인 현상이다. “기업들은 부와 권력을 얻기 위해 DX나, 클라우드 등을 통해 데이터 획득을 위해 노력 중이며, 초거대 AI를 개발하는 등 알고리즘 기술 개발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이 연구위원의 관찰도 같은 맥락이다.
그는 일단 “데이터와 알고리즘은 인간의 삶을 편하게 바꾸는 세상으로 안내한다”고 전제했다. 즉 “데이터와 알고리즘은 시·공간 제약이 없는 메타버스 세상이나,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행하는 자율주행 자동차 등 인간의 삶을 편하게 바꾸는 세상으로 안내하고 있다“고 요약했다.
특히 데이터 확보와 알고리즘 기술 우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자율주행 등 향후 무한 확장될 것으로 보이는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에도 주목했다. 그러면서 “로블록스, 마인크래프트 등 게임사가 주도 중인 시장에 애플, 아마존 등 빅테크들이 참여하면서 주도권 선점을 위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GM, 현대, 테슬라 등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뿐만 아니라 애플, 소니 등 전자업체들도 데이터와 AI기술을 앞세워 경쟁에 나서고 있다”고 환기시켰다.
그러나 “데이터 증가와 알고리즘 발전은 사회 갈등을 유발하는 어두운 면도 상존한다”고 했다. 데이터와 알고리즘 기술 발전은 인간에게 유익한 면도 있지만 사회 갈등도 야기한다는 것이다. 충분히 공감할 만한 관찰로 평가된다. 그는 ‘데이터리즘’의 부정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나열함으로써 그 양면성을 지적했다.
즉 ▲편향된 데이터에 기반을 둔 AI의 인종차별, 불공정 행위 등이 야기하는 사회적 갈등, ▲피싱, 가짜뉴스 등과 같이 불법적인 범죄에 악용되는 AI 기술, ▲ 편의성이 커서 이용자의 지식·가치관 확대를 방해할 만큼 AI가 남용되는 현상, 그리고 ▲ AI로 인해 단순노무직부터 전문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일자리가 위협받는 현상 등을 꼽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I로 사라지는 직업보다 새롭게 생기는 직업이 더 많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위원은 이런 부정적 측면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도 “데이터와 AI모델 검증 기준, AI 윤리 원칙 등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즉 “올바른 데이터를 학습해야 올바른 결과가 나오므로 AI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선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특히 원시 데이터를 가공하는 단계를 비롯해 (데이터 마이닝과 모델링 등의) 모든 단계 마다 품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또 “AI알고리즘의 편향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회, 인종, 지역 등 민감한 영역에 윤리적 검증 기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인공지능 권고안이나,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국과 국제기구, 연구기관 등에서 제정한 다양한 AI 윤리원칙을 대안으로 제기했다.
특히 “부와 권력의 원천인 데이터에 대한 정보 생성 주체의 주권 보호와 기업들의 남용을 막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면서 “데이터리즘 시대의 핵심자원인 데이터 보호를 위한 노력과 함께 ‘소비자 데이터 주권’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활용하는 기업·기관 등을 (적절히 규제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수”라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