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인력 100만 양성’ 후속, 과기부도 서둘러 ‘전방위적 양성책’ 발표
전공이나 적성 불문, 모든 학생 디지털 기능교육에 올인, “큰 부작용” 우려
“디지털 역량위한 ‘교양․인문교육’ 중요”지적, 실제 수요인력 과잉집계 지적도
코딩 교육 포기 ‘코포자’, 디지털 훈련 낙오자 속출 예상, “사교육 극심”우려

사진은 '2022국제인공지능대전'으로 본문 기사와는 맥락이 다름.(사진=이보영 기자)
사진은 '2022국제인공지능대전'으로 본문 기사와는 맥락이 다름.(사진=이보영 기자)

지난 22일 정부 합동으로 ‘디지털인재 100만 양성’ 방안에 대한 적잖은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25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다시 세분화된 ‘전방위적인 디지털 혁신인재 양성 본격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번 ‘100만 양성’에 대해서는 비판 여론이 만만찮았다. ‘코딩 교육’과 같은 디지털 기능을 전체 학생들에게 ‘강요’하는게 온당하냐는 비판을 비롯, “그에 앞서 디지털 인성의 기반이 되는 폭넓은 교양과 인문교육이 먼저”라는 지적도 제기되었다. 또 “자칫하면 적성에 맞지도 않는 ‘코딩’이나 ‘프로그래밍’ 교육으로 ‘수포자’에 이어 ‘코포자’ 내지 ‘프포자’도 양상할 것”이란 지적도 속출했다.

그러나 이에 아랑곳않고 25일 과기정통부는 주무부처답게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민·관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면서 “교육대상별, 수준별 디지털 교육과정을 통해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고 마치 일전을 불사하듯, 저돌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모양새다.

이날 과기정통부가 내놓은 방안은 그야말로 대학과 각급 학교를 교육 아닌 산업인재 훈련소로 만드는 듯하다. 과기정통부는 실제로 “대학을 첨단·디지털 인재양성 ‘전진기지’로 재편한다.”고 선언했다. 가뜩이나 ‘학문의 전당’이란 개념은 사라진지 오래이고, 취업 학원 정도로 전락한 대학을, 이젠 기업과 산업인력의 연수원 급으로 격하시킨 셈이다.

그 내용을 보면, 대학에선 “세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기술력을 확보할 석·박사 양성을 대폭 강화한다.”면서 “내년까지 9개가 신설되는 인공지능 융합 혁신대학원을 비롯하여 차세대 반도체, 사이버보안, 데이터, 메타버스 등 5대 디지털 기술 분야별 대학원을 신설·확대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 소프트웨어학과 전공자를 확대해온 그간의 소프트웨어 중심대학(현 44개)을 2027년까지 100개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꼐 “기업과 함께 디지털 인재 공급을 신속하게 확대한다”고 했다. 즉, “기업이 직접 교육과정 설계부터 채용까지 지원하는 민·관 협력형 인재양성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면서 사실상 제도화된 교육기관이나 대학 대신, 이젠 기업에 의한, 기업을 위한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도록 한 것이다. 그래서 “기업-대학 협력 모델인 ‘캠퍼스 소프트웨어아카데미’를 올해 550명, 중소기업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기업멤버십 캠프는 올해 600명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기업들은‘디지털 리더스 클럽’으로 인증하고, 부처 명의의 인증서 발급과 타 정부사업 참여 가점 등 특전을 부여하여 민간의 인재양성 노력이 확산되도록 지원한다. 디지털 인재양성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를 다음달 발족한다. 이는 주요 기업과 대학, 교육기관, 과기정통부·교육부 등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개방형 협의체다. 교육생 채용 지원과 공동 교육과정 개발, 역량 검증 지원, 인프라 공동 활용 등에 대해 협력해 나간다. 기업이 결국 교육의 양과 질을 좌우할 수도 있는 셈이다.

더욱이 전공을 불문하고 이같은 ‘디지털화된 인간’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과기부는 “비전공 청년과 재직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고 했다. 즉, 혁신형 전문 교육과정인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확대하고, 멘토링을 통한 소프트웨어명장 양성과정인 ‘소프트웨어마에스트로’ 교육생도 확대(연 250명)한다. 그러면서 프랑스 에꼴42를 인용했다. 이는 교사나 교재, 수업이 없는 현장 실무형 교육으로 알려졌다. 이를 국내 여건에 맞게 보완한 현장형 교육 플랫폼(프로젝트X)를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또 AR, VR 분야의 개발·창작자 양성을 위한 ‘확장가상세계 아카데미’를 확대(연 180명→500명)하고, 정보보안 정예요원 양성을 위한 ‘화이트햇 스쿨’과 ‘정보보호산업인재 아카데미’도 내년부터 신설하여 청년들의 디지털 교육 기회를 늘려나간다. 또 “내년부터 지역 디지털 인프라를 집적하는 ‘디지털 혁신 거점’을 조성하여 입주기업과 연계 교육을 추진할 것”이라며 “지역 디지털 교육 거점인 ‘이노베이션 스퀘어’는 지역수요에 기반한 디지털 분야 전반으로 교육 분야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금융 등 비(非)정보통신기술기업 재직자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도 운영한다. 디지털 전환을 지원할 전문가인 ‘디지털 마이더스’를 육성하고, 바우처 지급을 병행한다. 그래서 “전 산업의 디지털 전환이 성공적으로 이뤄지도록 지원”한다는 얘기다.

과기부의 교육 디지털화는 미래 세대도 겨냥한다. 이미 22일 범 정부 종합방안에서 밝혔듯이, 교육부는 2025년부터 정보·컴퓨터 교육 수업시수를 현재 2배 수준인 초등학교 34시간 이상, 중등 68시간 이상으로 확대한다.

과기부는 “교육 당국과 함께 ‘인공지능교육 선도학교’ 지정을 확대하여 우수 교육모델을 확산해 나가고,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안내서 배포와 인공지능 교과서 개발 등을 지원하여 학교 내에서 정보 교육이 내실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전국 11개 ‘소프트웨어미래채움센터’에서 체험형 디지털 교육을 제공하고, 소외지역 학생들에 대한 방문 교육도 지원한다. 또한 경력단절여성, 퇴직자, 청년 등을 전문 강사로 양성하여 ‘디지털 튜터’로 활용할 계획이다. “재능있는 영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정보과학(소프트웨어·인공지능) 영재 육성계획’을 연내 마련하고, 소프트웨어영재학급 등을 확대(’23년 45개→ ‘25년 70개)하여 지원한다”고도 했다.

나아가선 군 장병들도 복무 중 디지털 역량을 함양하고 전역 후 관련 분야 취·창업에 나설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국방부와 함께 5년간 군 장병 5만명을 대상으로 맞춤형온라인 소프트웨어·인공지능교육도 운영한다.

소프트웨어전공자 뿐 아니라 비전공자도 디지털 역량을 측정하여 수준에 맞는 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역량검정 모델(TOPCIT)을 개편하되, 실기 평가 중심으로 고도화한다. 특히 개인별 교육이력을 누적·관리하기 위해 부여될 예정인 ‘디지털 배지’가 기업에서도 채용 및 경력 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디지털 인재 얼라이언스’를 통해 확산해 나간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