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ESG 확산 체계 구축 위한 협력양해각서(MOU) 체결
IoT, AI, 데이터, 디지털트윈 등 IT 기술 활용, 경영에 ESG를 적용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디지털화와 ESG가 접목된 ‘디지털 ESG’ 개념이 최근 눈길을 끈다. 2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SK증권, 그리고 에트리홀딩스(주)는 ‘디지털 ESG’를 실현하기 위한 협약을 맺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이날 SK증권, 에트리홀딩스(주)와 함께 500억 규모의 ‘디지털 ESG 기술사업화 투자조합’에 대한 내용을 담은 협력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디지털 ESG 기술 사업화와 유망기업 발굴, 투자로 성장을 지원한다는 내용이다.
나아가서 이들 3개 기관은 ▲협약기관 공동투자를 위한 투자조합의 결성, 운용 및 출자 ▲공동투자 기업에 대한 투자연계 성장 프로그램 지원 ▲공동투자 기업에 대한 연구시설, 장비, 인프라 및 기술지원 ▲ 공동투자 기업에 대한 후속 투자 및 투자유치·기업공개·인수합병 자문·주선 등의 분야에 상호 협력할 예정이다.
ESG는 조직과 기관 경영의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3가지 핵심요소를 말한다. 즉, 매출이나 이윤과 같이 재무적인 요소에서 드러나지 않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으로 외연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는 UN이 지난 2006년 출범한 유엔 책임투자원칙(UN PRI)을 통해 ESG를 고려한 사회책임투자를 장려하면서 세계 각국으로 확산되었다.
‘디지털 ESG’는 ESG와 디지털의 개념을 접목한 것이다. 전자통신연구원은 “많은 기업이 ESG 경영의 가치와 필요성을 공감하고는 있으나 정작 어떠한 방법으로 이를 이행해야 할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이 같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효율적으로 ESG 경영을 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디지털 전환과 ESG의 융합, ‘디지털 ESG’”라고 밝혔다. 즉, 디지털 ESG는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디지털트윈 등의 IT 기술을 활용하여 경영에 ESG를 적용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개념이다.
연구원과 나머지 두 기업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각자의 전문적 인력과 기술, 인프라를 활용하여 ‘DX’를 산업계에 확산시키는데 일조함으로써 ‘디지털 ESG 경영’을 널리 장려한다는 취지다.
우선 디지털화를 접목시킬 수 있는 유망기업(주로 ICT업계)을 발굴해 ‘디지털 ESG 기술’을 찾아내고 이를 사업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유망기업에 대한 투자를 하되, 그런 목적으로 5백억원 규모의 투자조합을 공동 결성키로 했다. 특히 정보통신 전문기관인 전자통신연구원은 “우수한 연구인력을 바탕으로 연구시설·장비, 인프라 등을 활용하여 디지털 ESG 기술사업화 유망기업의 성장 프로그램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에트리홀딩스(주)는 그동안의 경험을 살려 연구소기업 전환, TIPS, 스케일업 기술사업화 등 투자연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SK증권의 경우 투자기업에 대한 후속 투자, IPO, 인수합병(M&A) 자문·주선·주관 등에 역량을 집중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