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제표준 제정 2건, 신규제안 승인 8건, 의장석 4석”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디지털 기술의 표준을 선점하는 것은 세계적인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중요한 조건이다. 최근 국제 사회에서 국내 연구기관이나 전문기관들이 자체 기술 표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등 국제표준화를 선도하는 움직임이 잇따라 눈길을 끈다.
그 중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지난달 28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10일간 개최된 국제전기통신연합(ITU) 회의에서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국제표준화를 주도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연구원에 따르면 ITU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 산하 SG20(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회의에서 2건의 국제표준을 제정하고, 8건의 국제표준(안)을 새로 제안한 후 승인을 받았으며, 특히 국제표준화 회의 의장단 4석을 확보하기까지 했다.
연구원은 “이는 진 3월에 개최된 세계전기통신표준화회의(WTSA)에서 ETRI 김형준 지능화융합연구소 소장이 SG20 의장으로 선임된 이후 개최된 첫 번째 회의에서 거둔 성과”라며 “김형준 소장은 한국대표단 수석대표로 참석, 성공적으로 회의를 진행했다는 평가”라고 전했다.
연구원이 이번에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국제표준으로 제정하거나, 신규 제안 후 승인을 받은 기술은 사물인터넷(IoT) 융합, 디지털트윈, 스마트농업, 스마트에너지, 스마트헬스 등이다. “특히, 세계 최초로 일반적인 디지털트윈의 정의가 포함된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시스템의 요구사항 및 기능’을 제정하는 성과를 거두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또 “현재 자체적으로 진행 중인 도메인 간 상호 연합을 위한 디지털트윈 연합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디지털트윈 연합 참조구조와 정보 교환 모델을 정의하는 2건의 신규 제안 표준이 승인을 받았다는 사실이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으로 이번 회의에서 연구원이 새로 제안한 후 승인된 8개 분야의 국제표준(안)은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환경에서의 자율주행 배달 로봇을 비롯해 ▲디지털트윈 연합 ▲스마트온실 서비스 ▲지능형 에너지 관제 ▲취약계층을 위한 접근성 ▲스마트농업 ▲스마트시티 관제 및 모니터링 ▲지능형 사물인터넷 서비스 등이다.
또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연구반(SG20)과 관련 총 4석의 의장단을 배출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김형준 지능화융합연구소장이 지난 3월, 연구반 전체 의장에 선임된 것을 비롯, 이준섭 융합표준연구실장이 상호운용성 그룹 라포처, 최영환 박사가 구조/프레임워크그룹 부(副) 라포처, 김성한 박사가 데이터 그룹 부 라포처 등에 피선되면서 의장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를 두고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및 스마트시티 분야의 국제 표준화를 전담하는 ITU-T SG20의 의장으로 국제 표준화 리더십을 선도하게 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