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애플, MS, 메타 등 빅테크와 1천개 글로벌 기업 밀집’
에스토니아, ‘모든 기관․조직 데이터 교환 플랫폼, ’X-tee’로 유명
지능정보사회진흥원, “모범적 DX로 선도적 디지털 강국 발돋움”

사진은 애플의 데이터센터로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은 애플의 데이터센터로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아일랜드와 발트해 연안의 에스토니아는 유럽의 소국이면서도 ‘강소국’으로 꼽힌다. 특히 이들 두 나라는 남다른 디지털화를 통해 국가 시스템을 첨단화하고, 경제적 풍요를 이룬 케이스로 유명하다. 한국지능정보사회연구원이 최근 ‘GDX(디지털 전환) 리포트’를 통해 작지만 디지털 강국인 두 나라의 실태를 소개해 눈길을 끈다.

이에 따르면 우선 아일랜드의 경우 수도 더블린을 중심으로 도처에 구글, 애플, 인텔, 메타(페이스북) 등 글로벌 빅테크를 비롯해 1천여 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이 자리하고 있다. 전체 일자리의 32%가 이들로부터 창출된다는 얘기다. 특히 이곳엔 유럽의 ‘실리콘 밸리’로 불리우는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의 ‘실리콘 덕(Silicon Duck)’ 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그런 가운데 이 작은 나라에는 무려 1천여 개의 해외투자 기업들이 있다. “이들은 연간 50억 유로(약 6조4천억원) 규모의 투자와 20만 명 이상 직접 고용으로 아일랜드 경제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는 진흥원의 설명이다. 수도 더블린 이외에도 코크, 골웨이, 리머릭 등 주요 도시의 대학과 연구기관에서도 우수한 인력들이 대거 배출되고 있다. 특히 “자율주행 산업에서 비즈니스 파트너인 글로벌 자동차부품 기업들이 대부분 아일랜드에 유럽 본사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아일랜드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디지털 아일랜드’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4개 분야의 10년간 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은 △ 기업의 디지털전환이다. 이는 클라우드·데이터·인공지능 등 기업에서의 신기술 적용률을 2030년까지 75%로 올리고, ‘디지털전환기금(Digital Transition Fund)’을 통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것이다.

다음으론 △디지털 인프라의 확충이다. 2023년까지 모든 학교를 디지털로 연결하고, 2030년까지 아일랜드 전역을 5G망으로 커버한다는 계획이다. 또 △2030년까지 성인의 80%가 기초 디지털 역량을 보유하고, 고급 디지털인재를 육성하며, △ 2030년까지 공공서비스의 90%를 디지털화하고, 원격근무 제도를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발트3국 중의 하나인 에스토니아는 ‘ 디지털로 독립국가의 토대를 만든 나라’로 꼽힌다. 즉 1991년 소련에서 독립한 후, 국가의 기틀을 새로 세우며 ICT에 과감히 투자해왔다. 에스토니아는 소련의 몰락으로 자주권을 회복한 후, 서방국가에 크게 뒤처진 국가 상황을 극복할 타개책으로 ICT를 선택하고 개발․투자를 추진했다.

1994년 이래 이른바 ‘국가 정보화 정책 원칙’을 통해 사회·정치 문제 해결을 위한 IT 솔루션 도입 계획을 실천해왔다. 그 과정에서 전 국민이 인터넷과 ICT 기술을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를 확충하고, 교육을 실시했다. 또 2001년까지 모든 학교에 컴퓨터를 보급하고 인터넷 활용을 확산시켰다. 특히 2000년대 초반부터 에스토니아는 그 유명한 국가 데이터 교환 플랫폼인 ‘X-tee’를 도입, 유럽의 선도적 디지털 국가로 발돋움했다.

즉 행정 시스템에 데이터 공유 기반 ‘X-tee’를 도입함으로써 2021년에는 공공서비스의 99%를 온라인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X-tee는 다양한 기관과 조직의 정보시스템에 분산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이는 “에스토니아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 기반(Data exchange layer)의 명칭”이라는 설명이다.

X-tee 회원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며, 회원인 공공기관, 민간기업, 또는 법인은 다른 회원의 정보시스템이나 DB 데이터를 24시간 동안 열람·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X-tee의 중앙 서비스(Central Service)와 보안 서버(Security Server)를 통해 데이터 제공기관과 사용기관 간에 데이터가 교환되는 아키텍처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원본 데이터의 변형 없이 교환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보유하게 되었다.

그 배경은 1990년대 초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할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에스토니아 정부는 공공데이터가 중앙 DB 아닌 해당 조직이나 기관 시스템에 뿔뿔히 흩어진채 개별적으로 보관하고 있었다. 이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데이터 무결성과 △데이터 기밀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활용 권한 통제가 가능한 공공부문 간 정보교류가 필요하게 되었다.

X-tee는 이같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2001년부터 도입되었다. 그후 점차 기술이 발전하고 데이터 기반의 온라인 공공서비스가 등장하면서 서로 다른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다만 X-tee를 개발, 설계할 때 제시된 주요 설계원칙과 2001년 이후 관리·운영을 위해 강조된 6가지 대원칙이 눈길을 끈다.

우선 △플랫폼·아키텍처의 독립성이다. 즉 X-tee 회원의 소프트웨어 플랫폼 유형에 상관 없이 회원간 데이터 교류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다음으론 △중개자 없이 조직 간에 직접적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게 한 ‘탈중앙화’다. 또 △X-tee 회원은 X-tee로 제공되는 모든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게 한 ‘다자화’ 원칙이다. 그리고 △ X-tee의 관리·개발·운영에 가능한 한 국제 표준과 기술 요소를 활용하는 ‘표준화’ 등이다. 그 밖에 X-tee로 교환되는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 △기밀성(confidentiality) 등이 그 원칙들이다.

현재 이 나라에서 X-tee는 정부의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핵심 기술이자 기반이 되고 있다. X-tee를 통해 매년 13억 건 이상의 쿼리(시스템간 데이터 호출)가 발생하며, 2021년에는 27억 900여 건 이상의 쿼리를 기록하는 등 계속해서 활성화되고 있다. 진흥원은 “또 민간기업(826개), 공공부문(193개), 비영리단체(52개), 非에스토니아 조직· 기관(25개) 등이 X-tee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어, 다양한 분야 간의 데이터 공유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정보시스템 간 발생한 쿼리 현황을 시각화된 자료로 공개하여 다양한 분야․기관 사이에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도 제공하고 있다”고 그 효용성을 소개했다.

한편 에스토니아는 세계 최초로 전자 투표와 전자 시민권을 도입한 국가이기도 하다. 국가 자체가 거대한 블록체인 스타트업으로 불려도 좋을 만큼 데이터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나라이다. 에스토니아는 유럽에서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며 암호화폐 산업을 지원하는 입장을 취해왔다. 2017년 말 유럽 최초로 암호화폐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라이선스 제도를 시행했으며 현재는 세계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금융 영역에 핵심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