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국제무역 감소 등 어려운 여건에도 연구개발 투자 강화”

사진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연구 실험 광경으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연구 실험 광경으로 본문과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김향자 기자] 국내 ICT 업계는 2020년 기준으로 생산‧수출 뿐만 아니라 연구개발 투자도 지속적으로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20년 국내 정보통신기술기업들의 연구개발비는 2019년의 41조4400억원 보다 0.72조원(1.7%) 증가한 42조16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인력도 전년도보다 1만명(5.6%) 더 많은 18만9천600명까지 늘어났다

이를 기업의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벤처기업, 중소기업 순이었다. 2020년 기준으로 정보통신기술 기업 연구개발비 중 대기업의 투자 비중이 80.0%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벤처기업 9.7%, 중견기업 5.3%, 중소기업 5.0% 순이었다.

또한, 반도체,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방송기기업이 전체의 91.5%를 차지했다. 민간‧해외재원(40.58조원, 96.2%)을 활용하여 주로 제품 상용화 등 개발단계(29.84조원, 70.8%)에 집중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2020년에는 정보통신기술 벤처기업에 대한 연구개발투자가 정보통신기술 전체기업 증가율(1.7%) 보다 약 7배나 높은 1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인력은 총 18만9천600명 중에서 직접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원(89.4%)과 연구지원을 맡는 연구보조원(9.1%)은 한 해 전에 비해서 각각 8천900명과 1천300명 늘었고, 행정지원인력(1.4%)은 소폭 감소했다.

이같은 결과는, 전 세계 무역규모가 크게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우리 기업들의 정보통신기술 생산과 수출이 증가하면서, 연구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는 평가다.

이번 통계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의 연구개발활동조사(조사기간 : ’21.3~12월, 응답기업 : 55,445개) 결과 중 정보통신기술 기업(15,553개)에 관한 항목을 별도 분석한 것으로, 4월 중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과 정보통신기술통계포털(http://www.itstat.go.kr) 등에서 일반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키워드

#R&D #연구개발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