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진흥원, “BGF리테일과 안심스마트점포 실험, 보급"

[애플경제 김향자 기자] 자동화 또는 무인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상점이 날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자영업체들을 중심으로 스마트상점을 보급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다양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또 한국인터넷진흥원도 이를 기술적으로 뒷받침하며, 나름대로 스마트 상점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 기관이 지난해부터 BGF리테일과 이른바 ‘안심스마트점포’를 보급시키기 위해 펼쳐온 캔페인은 더욱 스마트상점 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인터넷진흥원은 종전의 스마트점포의 단점이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는 입장이다. 즉 “현재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무인점포는 절도, 무단침입 등 물리적 위험과 해킹 등 잠재적 보안위험이 제기되고 있으며, 점포 구축에 필요한 기술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이에 BGF리테일과 협업하여 국내 무인리테일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국내 중소기업이 보안 기술을 검증하고 고도화할 수 있는 실증환경을 함께 구축해 왔다는 설명이다

인터넷진흥원은 “이는 순수 국내 기술로 구현된 본 실증점포로서 본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내년 2월부터 실제 운영되며, 출입부터 결제까지 전 과정에 걸쳐 다양한 실증 데이터를 생성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즉 기존 무인점포가 당하기 쉬운 절도나 무단침입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란 설명이다.

이와 관련된 노하우나 데이터는 인증, 도난방지, 응급상황 감지·대응 등의 보안 기술을 개발 중인 국내 사업자들에게 제공된다. 또한,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기술에 대해서는 점포 내 제품·서비스에 적용해보는 실증 기회가 주어진다. 이때 모든 데이터는 AI 학습을 위해 필요한 영상, 센싱, 네트워크 트래픽, 시스템로그, 결제 등 실제 스마트점포를 운영하면서 생성되는 것이다.

BGF리테일은 국외 기술 중심의 스마트점포인 ‘테크 프렌들리 CU’ 1호점을 개점한 적이 있다. 그러나 해외 기술 의존에 따른 개인정보보호 이슈를 원천적으로 해결하고 국내 기반의 스마트점포 핵심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인터넷진흥원의 협조를 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진흥원은 “안심스마트점포 실증을 통해 도출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 고도화를 희망하는 기업을 위해 향후 공모를 통해 판교 실증랩 입주를 지원할 예정”이라고 했다. 희망 점포는 진흥원 홈페이지(www.kisa.or.kr-입찰공고)로 신청하면 된다.

키워드

#스마트점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