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발생으로 게임 몰입도 높여, 현금 결제 심리적 부담도 적어
기업들 많은 이용자 유인, 게임 내 적극적 활동으로 라이프사이클 증대
게임회사들 "NFT 거래로 수수료도 얻을 수 있어"
[애플경제 진석원 기자] 최근 게임 산업에서 가장 큰 화두는 바로 P2E(Play to Earn)다. P2E는 게임을 즐기면서 돈을 벌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게임 업계는 이 P2E 방식이 게임 산업 전체를 뒤바꿀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런 가운데 최근 게임업계에선 이를 실현할 유력한 기술로 대체불가능토큰(NFT)을 접목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NFT는 블록체인 상에 저장하기 때문에 고유한 희소성과 소유권을 부여할 수 있다. 복제가 어려워 위조가 불가능하고 소유권 증명이 쉽다. 또한 블록체인의 데이터는 공개적이고 투명하여 NFT의 출처나 소유자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추적이 쉽다는 장점도 있다. 토큰을 여러 형태로 나눠서 거래하고 구매할 수 있어 부분 소유권도 인정된다. NFT를 게임에 활용하면 게임 아이템을 NFT 거래 시장 속에서 자유롭게 거래하며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거래는 게임 아이템뿐만 아니라 NFT로 만들어진 한정판 상품, 예술품, 가상 부동산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용자는 자신의 캐릭터를 NFT로 바꿔 타 이용자에게 판매가 가능하다. 또한 자신의 아이템을 마켓플레이스에 올려 판매할 수도 있고 거래소에서 매각해 현금을 얻을 수도 있다. 게임을 하면서 토큰이나 NFT를 얻고 이를 현금화하거나 더 높은 가격에 판매하면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NFT를 활용한 P2E모델은 기존 게임과 달리 게임을 하면서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용자는 게임에 더 몰입할 수 있다. 현금 결제에 대한 심리적 부담도 덜어진다. 기업 입장에서는 많은 이용자들을 끌어들이거나 이용자들의 게임 내 활동을 활발하게 하면서 게임의 라이프사이클을 늘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NFT 거래를 통해 수수료를 얻을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 게임 산업의 P2W(Play to Win) 수익 구조는 작년부터 큰 논란을 부르고 있는 ‘확률형 아이템 이슈’와, 과도한 과금 유도 등으로 많은 이용자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확률형 아이템은 원하는 아이템을 확률에 따라 뽑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원하는 아이템이 나올 때까지 계속 현금 결제를 유도하지만 비싼 아이템은 확률이 거의 0%에 가까운 게임도 있다. KPMG 경제연구원은 이에 대해 "캐릭터의 레벨업과 성장을 위해선 과금이 필수가 돼버린 게임들에 대한 이용자들의 불만의 소지를 해소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온라인게임 상에서 아이템의 소유권에 대한 불만과 갈등이 이처럼 끊이지 않으면서 NFT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다수 게임사들은 P2E를 목표로 한 NFT 사업 내용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다.
그 중 위메이드는 NFT를 적용한 ‘미르4 글로벌’을 서비스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 회사는 또한 1월 10일, 엠게임과 블록체인 사업 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또 엠게임은 블록체인 분야를 차세대 플랫폼으로 선정하고 NFT게임 ‘프린세스 메이커 for Klaytn’ 등을 출시했다.
카카오게임즈는 가상화폐 보라코인 발행사인 웨이투빗을 인수하고 그라운드X의 클레이를 활용해 클레이튼 기반 게임에서 NFT를 거래할 예정이다. 컴투스는 애니모카 브랜즈, 캔디디지털 등 NFT 기업에 투자함과 동시에 NFT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인 ‘컴투버스’의 구축 계획을 밝혔다.펄어비스도 "NFT 프로젝트 디파인(DeFine)의 투자에 참여하였고 블록체인 게임의 개발과 서비스를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이 밖에 넷마블, 엔씨소프트, NHN 등 여러 게임사들이 NFT와 연계한 게임 서비스를 개발 및 연구 중이라고 발표했다.
한켠에선 과열된 NFTㆍ블록체인 시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아직 구체적으로 사업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에도 NFT라는 용어만으로 엄청난 주목을 끄는 일이 이어지고 있다. NFT 기술에 대한 이해나 실증 사례가 부족한 상황에서 과한 투자가 이루어지거나 이용자들이 유입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다. 또한 국내에서는 NFT를 이용한 게임이 법적으로 불가하기 때문에 규제 사항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