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통신연구원, “5G 위성 다중연결망으로 대륙 간 연동 기술 개발”
“기지국 없는 오지·해상, 재난 시 원활한 통신 가능해져”

사진은 통신기술 전문업체인 아나로그디바이스의 5G 플랫폼 홍보 이미지로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은 통신기술 전문업체인 아나로그디바이스의 5G 플랫폼 홍보 이미지로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유럽연합(EU)과 국제공동연구 끝에 5G-위성 다중연결망을 구축해 연구원과 프랑스 전자정보기술연구소(CEA-Leti)를 연동한 5G 서비스 기술을 선보였다. 이는 “세계 최초”임을 강조한 연구원은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오지·해상 지역이나 재난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G-위성 다중연결망은 5G 통신망과 위성통신망을 함께 활용하는 네트워크 기술이다. 연구원은 “5G와 위성통신을 동시 연결하면 5G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기지국이 없거나 부족한 지역에서는 위성을 통해 통신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다.”면서 “위성은 매우 높은 고도에서 지상의 허브와 사용자 사이를 연결하므로 5G 통신망에 비해 매우 넓은 서비스 커버리지를 갖는 장점이 있다.”고 이 기술의 효용성을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이 기술은 음영지역을 해소하거나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화재, 지진 등 재난·재해 상황 및 해상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이를 위해 연구원은 유럽연합(EU)과 3년간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5G-위성 다중연결망 테스트베드를 구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 과정에서 각자의 망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경우보다는, 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될 수 있는 ‘개념 검증 시연’도 실시했다.

이 기술을 공개하기에 앞서 지난해 10월, 연구진은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통해 프랑스 그레노블(Grenoble)의 CEA-Leti와 연결해 5G 서비스를 시연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연구진은 차량에 5G 통신단말과 위성통신 단말, 트래픽 컨트롤러를 설치했다. 트래픽 컨트롤 기술은 서로 다른 통신시스템 간 원활한 연결을 돕는 핵심 기술이다.

“시연을 통해 2개의 5G-위성 다중연결망을 대륙간 연결하여 5G 서비스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는 연구진은 “대륙 간 연결된 다중망을 기반으로 8K 비디오 스트리밍, VR 게임, 360도 실시간 웹캠 등도 시연했다.”고 전했다.

연구원은 “다중연결망을 기반으로 대륙 간 상호접속을 시도한 건 세계 최초”임을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다중연결망은 시제품 기반 5G 셀룰러망과 함께 케이티샛(KTSat)의 무궁화 6호 위성을 이용함으로써 향후 상용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

연구진은 앞으로 시연 결과를 바탕으로 위성통신을 결합한 차세대 통신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이를 이용한 5G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키워드

#5G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