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ICT관련 공공기관들, 다양한 지원책과 관련 제도 운영
AI기술개발 후 시장 진출에 ‘큰 도움’…‘테스트베드’도 조성․지원

사진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많이 참가한 '2021스마트공장전'으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사진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많이 참가한 '2021스마트공장전'으로 본문 기사와 직접 관련은 없음.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스타트업으로선 AI기술을 개발해도 시장에 지출하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전문가들은 이런 경우 정부와 공신력있는 공공기관의 실증이나 테스트를 받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이를 통해 AI기술을 기반으로 한 제품에 대한 시장의 신뢰를 얻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광역지자체,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등은 별도의 ‘AI기술 실증 테스트베드’를 조성, 운영하고 있다.

정부와 이들 기관은 또 이와 관현한 기술 실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관계자는 “예를 들어 모빌리티 AI기술 실증의 경우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 자금과 장비 등이 취약한 스타트업들에게 WAVE/LTE통신 기반의 GPS/GLONASS 수준의 V2X단말기를 대여하거나, 자율주행 안전지원 도로 IoT 시스템을 지원하기도 한다.”고 전했다. 교통신호정보나 보행자케어 시스템, 자율주행 도로감시 시스템, 도로환경감시 시스템 등이다. 이를 통해 스타트업이 직접 해내기 힘든 AI 관련 자율주행기술 테스트를 실제와 흡사한 상황에서 할 수 있다.

진흥원 측은 “이 경우 모빌리티 V2X 서비스와 Full HD급 CCTV 영상 분석 지원 등 인프라를 구축해주는 등 모빌리티 분야 실증을 지원해준다. 이를 통해 △보행자 안전을위한 스마트 횡단보도 기술이나 △스마트 안전운전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고 밝혔다.

도로 IoT 실증 지원 시스템도 지원해준다. 이 경우 IoT 디바이스 장착 구조물을 임대하거나, IoT 연구지원 함체 서비스를 지원한다. 또한 클라우드를 지원 내지 임대하기도 한다. 클라우드 시스템을 laaS서비스 형태로 스타트업에게 제공한다. 연구 전용 공간을 활용해 클라우드에 접속하도록 하고, 노트북, USB, 외장HDD 등에 대한 허가 매체 등록을 통해 데이터를 반출할 수 있게도 한다.

이 밖에 AI와 생활편의 실증 존도 운영한다. 자율주행 로봇, 비대면 자산관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실내외 위치 기반 센서, 무선 기반 통신환경 인프라 구축, 생활편의 분야 실증 등을 지원하기도 한다. 주로 △AI 피부 진단과 두피진단 시스템이나 △AI 기반 실감형 콘텐츠 등이 대상이다.

AI와 재난안전 실증 존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이는 범죄예방, 소독이나 방역, 환경 및 재난 상황 인지 학습 등을 위한 CCTV 영상분석, 측정 센서 등과 같은 수집․분석을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해준다. 그 대상은 주로 △AI 생활안전 무인경비 서비스, △AI 기반 홍수 예측 시스템 △ AI 기반 산업안전관리 서비스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제도를 통해 “(스타트업들이) AI기술을 개발한 후 이를 실증 또는 검증할 수 있도록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활성화하고, AI생태계를 확산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나아가선 AI기술 검증을 통한 AI 산업시장을 확대하고 기술경쟁력을 높여가기 위한 것”이라고 취지를 밝혔다.

키워드

#AI #스타트업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