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통신연구원 “대규모 드론 시뮬레이터 기술” 개발
가상 공간에서 안전, 신속, 다양한 드론 연구 가능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가상 공간에서 드론 여러 대가 한꺼번에 날아다니며 다양한 기능을 해낼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9일 “가상 공간에서 안전하고 빠르게 다양한 드론 연구를 할 수 있는‘고정밀 분산 드론 시뮬레이션’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드론에 접목되는 AI 수준을 향상하고 다양한 군집 드론 서비스를 발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드론을 사용하는 연구는 특성상 고장, 추락 등으로 인적, 물질적 피해가 나타날 수 있어 위험하고 비용도 많이 든다”면서 “특히, 단순한 드론쇼와 달리, AI 기반 임무 지능화를 위해서는 반복·강화학습으로 신경망을 고도화해야 하는데 실증 실험만으로는 충분히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러한 비효율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드론 동작을 미리 시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기술이 꼭 필요하다”고 개발 동기를 밝혔다.
하지만 연구원에 따르면 기존 시뮬레이터는 단순한 임무만을 수행하거나 많은 드론을 동시에 시험할 수 없다. 드론, 센서, 비행 환경 등 물리적 특성도 시뮬레이터에 정밀하게 반영하지 못한다. 이에 “대규모 단위 드론들을 띄워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을 시험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터와, 지상에서 드론을 쉽게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SW를 개발했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이 기술을 활용하면 실제 실험환경으로는 구현하기 힘든 상황도 다양하게 시험해보며 드론을 똑똑하게 만들 수 있다.”면서 “특히 시뮬레이터에는 실제 드론의 특성을 정밀하게 반영한 아바타 드론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시뮬레이터에 가상 드론, 장애물 등 환경을 설정해두면, 현실에는 아무것도 없어도 실제 드론이 이를 피해가거나 상호작용하는 상황을 시험해볼 수 있고, 고도의 성능이 필요한 기능도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시험을 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르면 본래 드론 시험에선 한정된 컴퓨팅 성능만을 활용해야 하기에 복잡한 임무를 맡길 수 없었다. 그러나 연구진은 분산된 여러 컴퓨터를 이용해 반복, 강화학습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기술로 한계를 극복했다는 설명이다. 연구원은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서버급 컴퓨터, 노트북 등 여러 기종을 연결하고 여기에 가상 드론 100대를 동시에 구동하는 시연을 했다.”고 했다. 또 무거운 물체를 줄로 연결해 여러 가상 드론이 협업하며 운송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현상을 정밀하게 재현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원은 또 “시뮬레이션 공간에서 수십만 번 반복하여 학습한 자율비행용 심층신경망을 실제 드론에 탑재해 목적지까지 장애물을 회피하며 비행하는 기술 검증도 완료하였다”고 강조했다.
이번 기술은 ▲분산 다중 드론 시뮬레이션 기술 ▲고정밀 객체 모델링 기술 ▲드론 물리엔진 기술 ▲시뮬레이션 강화학습 기반 드론 자율비행 기술 ▲다중 드론 지상 제어 기술 ▲실제 드론과 아바타 드론 간 동기화 기술 등 드론 시뮬레이션 기술 및 그 활용 기술이 핵심이라고 소개했다. 앞으로 “연구진은 기술들의 성능을 고도화하고 안정화 작업을 하는 한편, 보유한 기술을 군, 학계, 산업계 등에서 요구하는 드론 응용 사항들과 연계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