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일각 심각한 우려, “심각한 가격 변동성, 해킹 위험 등”
국제금융센터 조목조목 지적, “전문가도 속수무책인 결함 투성이”
[애플경제 이보영 기자] 가상자산(암호화폐)이 제도권으로 진입하면서 금융시장에 대한 파급위험이 증가하고, 이에 걸맞은 제도의 공백으로 인한 새로운 리스크가 확산될 것이라는 공포 어린 위기감이 금융구너에 최근 팽배한 실정이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가상자산 사업과 연계된 기업들이 늘어나고, 가상자산 기반 금융상품이 증가하는가 하면, 과도한 투자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지급능력 부족 등 시장 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이같은 우려를 표해 주목된다.
센터는 ‘이슈 분석’을 통해 금융권이 갖는 반(反)가상자산 정서를 여과없이 드러내고 있다. 특히 “가상자산 시장 내 수익률 추구 현상이 심화하고 있지만, 관련 정보는 충분히 인지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OECD의 경우 이로 인해 가상자산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위험을 안길 경로가 생성되고 있으며, 이대로 시장이 계속 성장할 경우 더 큰 시스템 리스크가 생길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센터는 금융시장 파급위험과 예상되는 새로운 위험 요인을 조목조목 나열하며, 가상자산 시장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 기업들의 가상자산 사업 연계성이 증대하고, 금융시장 내에 가상자산과 전통 금융상품이 접목하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또 과도한 투자 레버리지 등으로 향후 금융시장에 미칠 파급효과가 확대된다.
지난 10월 현재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금액은 3조6천억 달러로 전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했다. 현재 비트코인에 대한 추정 레버리지 비율은 0.2로 연초(0.14)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여기서 추정 ‘레버리지 비율’은 ‘CryptoQuant’가 집계하는 전체 가상자산거래소의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을 거래소가 보유한 비트코인 총량으로 나눈 것이다.
거래비중이 가장 많은 파생상품은 P만기가 없는 파생계약이며, 주요대형 거래소에서 100배 이상의 레버리지까지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올해 5월 비트코인 가격 급락(-36%)은 중국의 가상자산 금지(발행, 거래, 채굴), 테슬라의 비트코인 결제 중단 등이 촉발했으며 레버리지 물량 청산이 크게 가세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센터는 특히 “현재까지는 가상자산의 주요 급락 국면에서 유의미한 전염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호 연계성 증가로 향후에는 시장 경로를 통한 영향이 커질 것”이라고 경계했다. 즉 규제와 해킹범죄 등으로 가상자산 가격 급락을 촉발하고, 이에 파생상품을 청산하고, 가격하락이 가속되며, 관련 기업의 주가가 하락하는 등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가상자산 생태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은 발행사의 지급능력 부족으로 시장 변동성을 높이고 시스템 불안도 야기할 것으로 우려했다. 이에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는 가격 안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법정통화나 △가상자산 △상품(원유, 부동산 등)을 담보자산으로 코인을 발행하거나, △알고리즘으로 가격 변동성을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 “최근 발행사들이 담보자산을 단기금융시장에 투자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규제기관들은 유사시 대규모 상환 사태에 따른 시스템 안정성 위험을 일제히 경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스테이블코인 업계의 소수 집중, 테더(Tether) 코인의 고속 성장, 발행사의 ‘법정화폐와 1:1 태환’ 홍보와 다른 비유동성 자산을 대량 보유함으로써, 유사시 법정화폐 인출 요구가 쇄도할 경우 단기금융시장 교란 가능성이 우려된다. 특히 “미 규제당국은 해당 위험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달초 PWG대통령 직속 금융시장 실무그룹은 예금보험이 적용되는 예금기관에만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해야 한다고 제안한 바 있다”는 얘기다.
이에 ‘새로운 위험(Unknown risk)’이 돌출하고 있다는게 센터의 관측이다. 즉 “가상자산 시장 내 수익률 추구 현상이 심화하지만, 제한된 정보로 투자자들과 정부 등이 관련 위험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는 분석이다.
센터는 결국 가상자산 시장은 마치 ‘시한폭탄’처럼 언제 대형 리스크가 덮칠지 알 수 없는 불투명한 상황이라고 주의를 당부했다. 그러면서 “위험이 전이되는 경로가 새롭게 생성되고 있으며, 기관들이 디파이(De-Fi)에 직접 참여하고 현재와 같은 기하급수적 산업 성장이 지속될 경우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이라고 OECD의 진단을 소개했다.
이에 “디파이(De-Fi) 시장은 퍼블릭 블록체인 기반의 자유로운 금융서비스를 지향하지만 투명성이 부족하다”거나, “높은 익명성 등으로 개인투자자 역차별 문제, 구조적인 조작 위험 등이 잠재하고 있다”는 미증권감독기구(SEC)의 분석을 덧붙였다. 이를 바탕으로 “소수의 사람들이 코드를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자격을 갖춘 전문가라도 결함을 놓칠 수 있는게 가상자산시장”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