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플랫폼 관련 스타트업 ‘AI안심울타리’ 기술 개발
‘에지 영상 AI 기반 무단횡단 보행자 알림 시스템’
[애플경제 김향자 기자] 무단횡단을 막는 장치에도 AI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IoT플랫폼을 개발, 운용하는 스타트업인 C사가 최근 개발한 ‘AI 안심울타리’도 그 중 하나다. 이 회사는 무단횡단 사고 다발 지역을 CCTV 비전 인공지능(AI) 기반 무단횡단 방지 알림 서비스를 설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AI안심울타리는 무단횡단하는 보행자를 AI가 자동으로 찾아 경고를 주는 한편, 근처를 지나는 운전자에게는 무단횡단을 하려는 사람이 있음을 알리고, ‘운전 주의’ 경보를 전달한다. 이 회사가 개발한 가상 안심 울타리는 도시 교통 현장에 설치되는 에지 AI 단말의 일종이다.
차량과 보행자 등 교통 흐름 속에 발생하는 여러 데이터를 현장에서 수집하고 분석한 후 이에 적절할 대응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다. 회사측은 “특히 AI 가속기 모듈을 탑재해 고속·대용량의 CCTV 데이터를 실시간 AI 알고리즘으로 분석하고 처리한다”고 밝혔다.
‘안심 울타리’의 기반은 에지 컴퓨팅 및 인공지능(AI) 플랫폼 기술과 함께 CCTV 비전 인공지능(AI) 기술이 어우러진 결과라는 설명이다. “즉 온디바이스 비전 AI·에지 컴퓨팅·사물 인터넷(IoT) 기술을 바탕으로 데이터 발생 현장에서 즉각적인 데이터 분석이 가능한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해낸 것”이란 얘기다.
회사측은 “그 동안 도심 도로에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막기 위해 중앙 분리대를 설치하는 물리적 방법으로 보행자 안전을 제공하고 있지만, 중앙 분리대는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무단횡단자와 추돌 사고 발생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안심울타리’ 기술은 그런 문제점을 해소했다는 얘기다.
즉 “무단횡단 보행자 알림 서비스는 기존의 도심 CCTV에 AI 기술을 결합한 것으로 분명 무단횡단 교통사고 발생률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AI알고리즘 방식을 접목해 중앙분리대 유무와 관계없이 원격 감시와 조정, 관리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안심울타리 시스템은 현재 경기도 부천 시내를 대상으로 시범 설치될 예정이다. 무단횡단이 자주 발생하는 △상동 영광삼거리 △부천역 북부 △역곡역 북부에 설치되며, 2022년부터 설치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