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하이브리드 세계의 새로운 개인 컴퓨팅 실현’
가상서버화로 원격 네트워크 모니터링, 효율적 작업
[애플경제 전윤미 기자]
윈도우365가 출현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제 서버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시장도 넘보고 있다. 그런 점에서 가상화 기술에서 컨테이너 기술까지 아우르며 발전을 거듭해온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하이라이트격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PC인 윈도우 365라고 할 수 있다.
본래 클라우드 PC는 클라우드컴퓨팅의 장점을 수용하여 장치의 기능을 활용하여 위치나 장치에 관계없이 업무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윈도우 환경을 제공하는게 가장 큰 장점이다. 이런 점에서 윈도우 365는 획기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즉, 사용자가 맥, 아이패드, 리눅스 장치, 안드로이드를 포함한 모든 장치에서부터, 클라우드의 모든 개인화된 응용 프로그램, 도구, 데이터 및 설정을 스트리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다른 말로 ‘인스턴트-온 부팅’ 환경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어떤 장소나 환경, 원격 공간에서 장치를 바꿔도 클라우드 PC의 상태가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마치 한 장소나 공간에서 동일한 시간에 작업하는 것과 똑 같다. 이는 원격 공간에서도 마치 본사이 사무실 데스크톱에서와 똑같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365는 특히 가상화 환경을 단순화한게 특징이다. 본래 이는 애저 버추얼 데스크톱을 기반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가상화를 통해 클라우드 PC로 사용자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PC 사용자가 네트워크 전반의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기능을 구축했다. 예를 들어 엔드포인트 분석 대시보드에서 클라우드 PC 환경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즉시 업그레이드를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단을 실시, 항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하는 것도 큰 장점이다.
이른바 ‘제로 트러스트’ 아키텍처 또한 윈도우 365가 크랄우드 컴퓨팅으로 인해 획득한 장점이기도 하다. 즉 디바이스가 아닌 클라우드에서 정보를 설계, 저장 및 보호함으로써 비교적 철저한 보안을 기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다단계 인증(MFA)이나 애저 액티브 디렉터리(애저 AD)와의 통합으로 클라우드 PC에 대한 로그인 또는 액세스 시도를 필터링하기도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엔드포인트 매니저 내에서 다단계 인증을 전용 윈도우 365 조건부 액세스 정책과 연결하는 등 보안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같은 윈도우365의 가장 핵심적인 기반 기술은 가상화 및 컨테이너 기술이다. 가상화가 아닌 물리적 서버는 중앙처리장치(CPU)나 메모리와 같은 자원을 격리할 수가 없다. 또 운영 체제 간의 호환성 문제도 걸림돌이며, 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자동 확장도 불가능하다. 이런 문제를 가상 서버를 통해 해결하고, 이를 적용한 것이 윈도우365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일단 가상 서버는 하이퍼바이저라는 하드웨어 에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하드웨어를 제공한다. 가상 하드웨어에는 게스트 운영 체제를 설치하고,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 인스턴스를 올린다.
이로 인해 가장 특징적인 차이는 가상 서버와 컨테이너 간의 부팅 시간이다. 하드웨어 가상화에 의한 가상 서버는 CPU,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의 하드웨어를 가상화한 것이다. 이에 하드웨어와 운영 체제 부팅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부팅에만 몇 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나 컨테이너형 가상화에서는 컨테이너 부팅 시 OS가 이미 시작된 상태다. 그러므로 부팅을 하는데 불과 몇 초면 된다. 이같은 가상화 기술은 하이퍼바이저를 통해 하드웨어를 에뮬레이션하고, 가상 이미지마다 게스트 운영 체제를 설치하는 것이다.
반면에 가상 머신과 달리 게스트 운영 체제도 없고, 유휴 자원도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이 매우 높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수준으로 구성되며 호스트 운영 체제의 커널을 공유하여 운영 체제를 가상화하기 때문에 운영 체제 설치가 필요 없어 이미지 크기가 작고, 고속으로 시작과 정지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가상 서버의 문제점을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애초 ‘코로나19’ 이전만 해도 생각지 못했던 원격이나 재택 업무 등은 기업들에게 새로운 고민을 안겨주었다. 즉, 하이브리드 세계에서 각자의 집과 사무실, 그들 사이의 모든 지점에서 조직 구성원들이 본사나 조직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방법이 그것이었다. 이 경우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 안전하게 보안을 유지하며 업무를 수행하는 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초 “이런 시대적 배경을 기반으로 윈도우 365 클라우드 PC가 탄생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밝힌 바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365는 윈도우 10과 11의 운영 체제를 애저 클라우드로 가져와 모든 앱, 데이터 및 설정을 포함한 전체 윈도 경험을 개인 또는 회사 장치로 안전하게 스트리밍한다.”면서 “이는 하이브리드 세계에서 완전히 새로운 개인 컴퓨팅인 클라우드 PC로 전환한 일대 사건”이라고 자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