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기업 자동화 속도 높이고
국내 엔터프라이즈 시장 공략 강화

[애플경제 이광재 ] “IBM은 레드햇 오픈시프트 기반 통합 SW 세트 ‘IBM 클라우드 팩 포 오토메이션’ 제품군을 기반으로 기업 자동화를 지원합니다”

마이크 길픽스 IBM 인공지능 자동화 비즈니스글로벌 총괄 부사장은 12일 ‘IBM 인공지능(AI) 자동화 비즈니스 전략 온라인 기자 간담회’ 자리에서 글로벌 및 국내 AI 자동화 시장 전략 및 주요 솔루션, 국내 기업 고객의 도입 사례를 소개하면 이같이 말했습니다.

IBM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인공지능(AI) 기반 자동화 비즈니스 즉,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를 포함한 AI, 데이터 등 특화 솔루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금융, 제조, 통신 등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전략입니다.

마이크 길픽스 IBM 인공지능 자동화 비즈니스글로벌 총괄 부사장이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회사 전략과 솔루션 강점을 소개하고 있다.
마이크 길픽스 IBM 인공지능 자동화 비즈니스글로벌 총괄 부사장이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회사 전략과 솔루션 강점을 소개하고 있다.

이날 기자 간담회 연사로 나선 IBM AI 자동화 비즈니스 글로벌 총괄 마이크 길픽스(Mike Gilfix) 부사장은 먼저 맥킨지 조사를 인용해 2020년 1년간 비즈니스 채널의 디지털화 프로젝트에 투입한 기업들의 노력은 지난 10년간 진행된 것과 맞먹을 정도로 코로나 이후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이 기업 경쟁력을 좌우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속도를 내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부서간 단절된 운영 ▲비효율적인 프로세스 및 기술 ▲IT 복잡성 등 3가지를 들었습니다.

그는 기업이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완전한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먼저 수작업의 양을 줄이고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며 프로세스에서 지연을 야기하는 전형적인 병목 현상이나 문제점을 제거함으로써 조직내 운영상의 단절을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비즈니스 자동화, Business Automation)

또 비즈니스상의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이나 시스템을 통합해 데이터나 이벤트, 프로세스 등을 실시간으로 주고 받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통합, Integration)

이와 함께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들이 항상 비용 효율적으로 다운타임 없이 정상 동작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IT자동화, IT Automation)

이에 대해 마이크 길픽스 부사장은 “IBM은 레드햇 오픈시프트 기반 통합 SW 세트인 ‘IBM 클라우드 팩 포 오토메이션’ 제품군을 기반으로 기업 자동화를 지원한다”고 소개했습니다.

IBM은 지난 1년간 AI 기반 자동화 비즈니스 리더십 확보를 위해 전문 기업을 인수하는 등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왔습니다.

지난해 7월 브라질 RPA 스타트업 ‘WDG오토메이션’을 인수했고 10월에는 IT 운영에 AI를 도입해 자동화해 기업 운영 리스크와 비용을 절감하도록 서비스나우와 파트너십도 확대했습니다다. 11월에는 애플리케이션(앱) 성능 관리와 식별을 지원하는 기업 인스타나를 인수했고 올해 6월에는 앱 리소스 관리와 네트워크 성능 관리 소프트웨어 기업 ‘터보노믹’을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IBM 클라우드 팩 포 오토메이션 제품군에는 ▲클라우드 팩 포 비즈니스 오토메이션(Cloud Pak for Business Automation) ▲클라우드 팩 포 왓슨 AIOps(Cloud Pak for Watson AIOps) ▲클라우드 팩 포 인티그레이션(Cloud Pak for Integration) ▲웹스피어 하이브리드 에디션 (WebSphere Hybrid Edition)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마이크 길픽스 부사장은 “클라우드 팩 포 비즈니스 오토메이션은 비즈니스 운영을 자동화하는 솔루션으로 특정 수작업을 최대 80%까지 절감 가능하고 클라우드 팩 포 왓슨 AIOps는 IT 운영 자동화를 바탕으로 실행 가능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클라우드 팩 포 인티그레이션은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흐름을 자동화해 고객 경험 향상 및 3배 빠르게 통합이 가능토록 하고 웹스피어 하이브리드 에디션은 애플리케이션을 현대화해 비용을 낮추고 ROI를 개선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IBM은 이를 통해 고객들에게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IT 운영의 혁신을 위해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서 사용 가능한 AI 기반 자동화 소프트웨어와 서비스의 완전한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IBM 데이터 및 AI, 오토메이션 사업 총괄 김창회 상무는 IBM의 AI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한 국내 사례를 함께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먼저 한미약품은 IBM의 RPA 솔루션을 구매, 재무 등의 경영지원 업무에 적용하는 한편 팔탄 스마트 플랜트에 도입해 직원들의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해결해주는 동시에 직원들은 복잡하고 섬세한 사람의 역량을 필요로 하는 주요 업무에 배치해 전반적인 업무 프로세스의 간편화와 효율성을 달성했다고 합니다.

한미약품은 IBM RPA 솔루션을 50여 가지 과제에 적용해 연간 5만시간 이상의 업무 시간과 10억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했다는 것이 김 상무의 이야기입니다.

또 LG유플러스는 ‘스마트홈’과 같은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융합 서비스를 출시하는 한편 교육,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외부 파트너들과 제휴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디지털 서비스 제공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서로 다른 플랫폼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부서간 또는 기업간의 원활한 기술 연동이 중요했던 LG 유플러스는 IBM 클라우드 팩 포 인티그레이션에서 특히 API의 개발 및 테스트, 배치, 폐기까지 전체적인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하고 외부 파트너들도 사용하는 API에 대해 보안 및 가시성까지 확보해주는 IBM의 API커넥트를 도입해 유연한 개발자 포털을 구축함으로써 이를 해결했다는 것입니다.

김창회 한국IBM 상무는 “IBM 강점은 솔루션뿐만 아니라 다양한 IT 운영경험 속에서 엔터프라이즈 기업 특성을 잘 이해하고 이에 맞는 해결책, 플랫폼 제안이 가능한 점”이라며 “여러 엔터프라이즈를 공략하되 금융, 제조, 통신 등에 더 집중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길픽스 부사장은 간담회 마지막 코멘트로 “코로나 이후 기업 자동화 요구가 높아져 영역을 가리지 않고 기업 전 부문에 이를 적용하는 양상”이라며 “기업 규모나 기술 수준과 관계없이 누구나 AI 자동화를 도입하는 기술과 노하우를 제공하겠다”는 말로 마무리 지었습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