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도 가입자 심사에 도입…‘국제인공지능대전’서 다양한 기술 출시

앞으론 교통위반 단속이나 복잡한 도심의 교통정리도 AI가 도맡아 처리할 가능성이 크다. 이미 이런 용도의 스마트 영상분석 솔루션이나 그 기반 기술인 AI기반 CCTV영상고속검색기능, 초고성능 선명도를 구현하는 수퍼 레졸루션 등과 같은 기술들이 국내 스타트업들에 의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들 기술은 이미 실용화 단계에 들어갔거나, 성능의 완성도를 검증받은 경우도 많다.

최근 알티솔루션이 개발한 스마트영상분석 솔루션은 그 대표적이다. ‘국제인공지능대전’에서도 관람객들의 시선을 끈 이 기술은 딥러닝을 기반으로 사물이나 대상을 식별하고 정확하게 인식해내는 기술이다.

특히 이는 복잡한 도심의 교차로나 평소 과속, 신호위반이 많아 교통사고 위험이 큰 길목 등에 매우 유용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굳이 교통경찰이나 당국이 감시할 필요도 없이 그저 AI솔루션에 이해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분석, 제공하고 아무리 희미하게 스쳐지나가는 차량이나 도로상황도 고화질 저용량으 영상정보로 바꿔 공급한다.

또 신호체계 제어와 신호시간 최적화와 개선, 정지선 위반 계도와 감독, 교통약자 보행상황 관리, 전광판 교통정보제어, 돌발상황 경고 등의 기능도 해낸다.

이런 기능을 위해선 실시간으로 순식간에 스쳐가는 이미지라고 해도 정확하게 그 실체를 짚어낼 필요가 있다. 이미지 자동스캔 분야의 한 업체는 이를 위해 ‘이미지 스캔과 마스킹’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는 이미지속의 문자나 탐지된 영상을 근거로 개인정보를 추출하고, 보안을 유지하면서 마스킹을 하는 기술이다.

특히 이미지 자동식별과 분석에선 선명도나 화질이 중요하다. 에스프레소미디어의 ‘수퍼 레졸루션’은 이런 용도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미지 장치의 원래 화질보다 더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만들어 정교한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방송이나 미디어 분야에서 이는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해상도가 낮은 이미지를 딥러닝 기반의 AI알고리즘을 사용해 고해상도 이미지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에서 개발한 EDSR 및 MDSR엔진을 원천기술로 삼아 응용한 것이다. 특히 “이 기술을 활용하면 해상도가 낮은 저렴한 영상 장비일지라도 고가의 영상장비를 구매하지 않고도 이미지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같은 AI영상솔루션은 특히 ‘코로나19’가 극성을 부린 2020년부터 비대면, 비접촉(언택트)의 수단으로 급속히 발달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에 SK텔레콤이 AI영상인식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으로 휴대폰 보험을 가입할 수 있도록 한 것도 그런 흐름의 일환이다.

고객이 SK텔레콤 고객센터에 전화해 비대면 보험 가입을 신청하면 고객센터에서 고객에게 MMS를 발송한다. 이후 개인 정보 제공 동의 및 단말 인증을 실시하면 고객의 핸드폰 상태를 촬영할 제 3자의 핸드폰으로 MMS 메시지가 발송된다. 해당 MMS를 받은 휴대폰으로 보험 가입 대상 휴대폰을 360도로 촬영해 전송하면 인공지능이 1분 이내에 보험 가입 가능 여부를 알려준다. 이에 대해 SK텔레콤은 당시 “언택트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ICT업계의 새로운 ‘K-언택트’ 바람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