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규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긍정적인 만기로 보고 있다. 1월부터 5월까지 만기일을 살펴보면 외국인의 영향으로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5월 만기 당시만 해도 1조원 이상의 프로그램 매물을 쏟아냈다. 하지만 6월은 다르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외국인은 지난 달 9일부터 25일까지 프로그램 매매를 통해 3조원 가량의 자금을 쏟아냈다. 이에 증권가는 외국인의 매도물량이 나올 만큼 나온 것으로 보고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 현물과 선물의 상대적 가치를 판단하는 베이시스도 회복단계를 나타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평가 된 현물의 수급 상황이 좋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기업의 6월 중간 배당이 있는 것도 선물 투자보다는 현물 매수 요인으로 보고 있다. 이는 옵션 만기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했다.
증권가 일각에선 악재가 100%사라진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국가기관의 매물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다.
최동환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매도잔고가 5월 만기이후에 1조정도 누적됐다. 매수들어왔던 규모를 보니까 1조2천원정도다. 실질적으로 매도잔고는 청산됐다고 본다. 남은 것은 국가기관에서 들어온 매수액이 5000억원이 청산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지난 주 국가기관은 베이시스가 좋은 상태에서 5천억원 가량 매수에 들어갔다. 만기일인 내일 베이시스가 0이 되면 차익 실현을 위해 매도로 돌아설 수 있다는 판단이다.
증권업계는 이달 옵션선물 만기일에는 외국인의 매도가 줄어 증시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의견을 공통적으로 내놨다. 하지만 기관의 매물 변수가 존재하는 만큼 시장 상황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