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5개 시중은행들은 은행을 상징하는 꽃을 정하고 각종 마케팅에 활용하여 국민들에게 큰 호응을 받은 바 있다.
대표적인 은행이 지금 우리은행의 전신인 한일은행이다. 한일은행은 밝고 명랑한 은행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널리 알리고 고개과의 유대를 더욱 공공히 하기 위한 한일가족만들기 캠페인을 전개했다.
1970년 8월1일 한일은행은 사은의 상징으로서 고객에게 감사하다는 뜻을 표시하고 동시에 그 은공을 보답하겠다는 뜻에, 보은의 꽃 카네이션을 행화(行花)로 선정했다.
한일은행 전직원들은 왼쪽가슴에 ‘카네이션’ 한송이씩을 달고 일제히 영업활동에 들어감으로써 부드럽게 순화된 은행의 이미지를 전파했다.
행화를 지정한 이날에는 한일은행 소공동에 위치한 예금고 전국1위 점포인 소동동지점에는 객장을 포함한 전 직원들이 앞가슴마다 카네이션을 달고 영업을 하여 당시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한일은행은 매년 5월8일 어머니날과 매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 그리고 매월25일 저축의날, 매년 12월 1개월간을 카네이션 패용기간으로 정하고 각 영업점 객장과 영업장 안에 항상 카네이션을 비치했다.
카네이션만을 보면 한일은행을 연상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은행 경쟁은 치열했다. 한일은행의 강력한 이미지를 주게 될 행화 제정은 고객 유인에 있어 큰 전략이라는게 당시의 평가다.
카네이션은 장미와 함께 세계적인 명화로 풍려한 색채와 겸손한 듯 하면서도 품위있는 꽃으로 정평받고 있다.
어미날의 카네이션 유래는 멀리 미국의 웬스터라는 작은 마을에서부터 흘러오고 있다. 이 마을에 자비스라는 부인이 마을 어린이들에게 어머니와 같은 사랑을 베풀어 존경을 받다가 세상을 떠났다.
그 마을 어린이들은 부인을 애도하면서 부인의 기일에 추모회를 열기로 했다. 그날 안나라는 그의 딸은 어머니 영전에 하얀 카네이션을 한아름 바쳤다.
이 갸륵한 일이 널리 퍼져 모두 그 뜻을 지지하며 해마다 그날을 지켜준 것이 나중에는 정부에서 어머니날로 제정하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한일은행이 감사와 보은 꽃 카네이션을 행화로 삼은 것은 뜻깊은 일이다. 특히 우리나라 금융기관에선 처음으로 행화를 제정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결국 마케팅에 성공하여 한일은행 하면 곧 카네이션을 연상시킬 정도로 자연스럽웠으며 카네이션을 이름을 한 금융상품도 선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