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웹 기반 서버 업체들 “단순 마이그레이션으론 클라우드 기술 수용 못해”

산업체 전반에 클라우드가 도입되고 이에 맞는 시스템으로 전환되면서 기존의 웹 기반 앱 서버 업체들(WAS, Web Application Server)들도 새로운 생존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들 역시 각종 기업이나 조직들이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추세에 부응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이기 때문이다.

2020년 들어 특히 두드러진 클라우드 전환 ‘붐’ 속에서 이들 업체들로선 생존을 위한 경쟁력이 더욱 절실하게 된 것이다.

LG CNS의 클라우드 WAS ‘LENA’ (출처=LG CNS)
LG CNS의 클라우드 WAS ‘LENA’ (출처=LG CNS)

 

마이그레이션 보다는 ‘최적화’ 쪽이 현명

최근 자체 클라우드 WAS인 ‘LENA’를 운영하고 있는 LG CNS 등의 분석에 따르면 이들 WAS 기업들은 크게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전략을 구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면서 WAS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거나 재설치하는 것이다. 또 다른 선택은 여느 기업들이 그러하듯,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WAS로 변신하는 것이다.

현재로선 많은 WAS 업체들이 아무래도 후자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LG CNS가 사례와 경험을 통해 분석한데 따르면 기존의 WAS를 마이그레이션이나 재설치 방식으로 클라우드에서 사용하면 갖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마이그레이션을 할 경우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기존의 아키텍처를 그대로 옮기는 수준에 그치기 쉽다.

또 클라우드 업체가 독점적으로 제공하는 기술에 맞춰 WAS 자체 혹은 앱을 수정하는 경우도 생긴다. 또 기존의 아키텍처를 그대로 옮기다보니,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기능이 장점을 활용할 수없어 운영면이나 유지관리 등에서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 인프라 관리 부담을 덜기 위해 기업들이 클라우드를 선택하는데 WAS의 아키텍처를 그대로 옮기는 방식으로 마이그레이션할 경우엔 그런 기대효과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다.

 

클라우드 최적화로 IaaS‧PaaS‧FaaS 등 이점 구가

이에 반해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WAS, 즉 클라우드 WAS는 이런 단점과 문제점을 없애는 선택으로 주목받고 있다. 클라우더 최적화를 할 경우엔 아키텍처 수준에서 클라우드의 장점을 고스란히 누릴 수 있다.

비용도 역시 클라우드 구독 수준과 비슷하다. 클라우드 WAS는 이처럼 클라우드 전환에 의해 기하려는 IaaS의 이점뿐 아니라, PaaS(Platform as a Service), FaaS(Function as a Service) 등의 이점을 두루 획득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평가다.

이에 따라 LG CNS처럼 클라우드 WAS를 만드는 기업들은 클라우드 문명의 새로운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클라우드 및 운영 쪽에 전문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WAS 업체와는 다르다는 평가다.

상용 솔루션과 달리 오픈 소스를 지향하고 있으며 커뮤니티 주도의 기존 오픈소스 WAS와 달리 자신들이 직접 성능이나 안정성, 보안성 등을 책임진다. 즉, 클라우드 WAS 업체가 직접 책임지는 관리형 시스템인 것이다.

 

LG CNS 등이 ‘클라우드 WAS’ 주도해

현재 클라우드 WAS는 LG CNS, 마이크로소프트, 레드햇 등이 주도하고 있다. 그 중 국내 대표적인 클라우드 WAS인 ‘LENA’는 클라우드가 목표로 하는 민첩성, 유연성, 보안성, 안정성, 확장성의 이점을 중심으로 한 클라우드 최적화를 위해 개발된 것이란 설명이다.

또 클라우드의 이점을 취하면서 개방형 표준을 통해 클라우드 제공 업체에 종속되지 않는 시스템을 확보하도록 한다.

운영, 유지보수, 장애에 대한 대응 등에서도 신뢰할 만하다는 평가다. 최근 IDC 통계에 따르면 국내 WAS 시장 성장률은 2.1%에 그치지만 클라우드 WAS 시장은 25.9%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2022년에는 전체 WAS 시장의 5%를 차지할 전망이다. 비록 현재는 미흡하지만, 내년과 내후년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