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식음료 업체들이 원가상승 등을 이유로 올들어 앞다퉈 가격인상에 나서고 있으나, 실제 대다수 업체의 매출원가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가격인상 명분을 둘러싼 논란이 예상된다.
 

재벌닷컴이 올들어 상품인상을 예고한 농심 등 8개 식음료 업체를 대상으로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2012~2013년 3분기 연결기준)을 조사한 결과 63.7%에서 63.3%로 0.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원가'란 상품 및 제품 등의 매입원가 또는 제조원가를 말하며, 매입 또는 제조에 직접 소요된 비용이다. 매출에서 차지하는 원가 비율이 하락한 것은 상품을 팔아 벌어들이는 이익율은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건비 등 판관비와 기타 영업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인상 요인을 감안하더라도 식음료 업체들이 상품가격을 6~20% 올리는 것은 기업비용을 과도하게 소비자 부담으로 떠넘기는 경영이다.
 

실제 조사대상 8개 업체 중 6개 업체의 매출원가 비율이 전년보다 하락했다.
 

올해 '칠성사이다' 등 주력 상품을 평균 6.5% 인상키로 한 롯데칠성음료의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은 2012년 59.7%에서 지난해 57.9%로 1.8%포인트 하락했고, '새우깡' 등 제품별로 8.3~10% 인상할 예정인 농심도 매출원가 비율은 73.1%에서 72.1%로 1%포인트 낮아졌다.
 

롯데제과 역시 '빼빼로' 등 주력상품 가격을 두자리수(11.1~20%) 인상할 예정이지만,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은 오히려 2012년 63.1%에서 지난해 62.6%로 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빅파이' 등의 주력 상품 가격을 평균 7.1% 인상하는 크라운제과의 매출원가 비율은 62.2%에서 60.2%로 2%포인트나 뚝 떨어졌고, '에이스' 등을 평균 8.7% 인상키로 한 해태제과의 매출원가 비율도 60.3%에서 59.2%로 1.1%포인트 하락했다.
 

삼양식품은 '볶음 간짬뽕' 등 인기상품을 중심으로 올해 11.1~18.2% 상품가격 인상을 예고하고 있으나,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은 78.1%에서 76.6%로 1.5%포인트나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원가 비율이 상승한 업체들도 상품가격 인상율이 매출원가 비율 상승폭의 최대 8배에 달해 소비자에게 과도한 비용전가를 하고 있다.
 

오리온은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이 2012년 55.6%에서 지난해 56.9%로 1.3%포인트 상승한데 비해 '초코파이' 등 주력제품 가격을 평균 20% 인상키로 해 매출원가 상승률의 8배 수준에 달했다.
 

삼립식품도 매출원가 비율이 전년보다 2.8%포인트 높아진 반면 주력 제품가격은 평균 6.4% 올릴 예정이어서 매출원가 상승률의 배를 넘었다.
 

이처럼 대다수 식음료 업체들의 매출원가 비율이 하락한 것은 주력상품 생산에 소요되는 소맥, 당분류 등 원자재 가격이 대부분 하락한 때문이다.
 

실제 농심은 '라면', '새우깡' 등 주력제품의 주원료로 사용되는 소맥의 수입가격이 2012년 276달러(MT)에서 지난해 239달러로 13.4%나 떨어졌고, 같은 기간동안 팜유도 990달러에서 770달러로 22.2% 하락했다.
 

롯데칠성음료도 칠성사이다 등 음료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원료 중 주정 가격은 평균 3.6% 상승했으나, 가장 많이 투입되는 당분류나 오렌지 농축액 등의 가격은 5~17%나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벌닷컴]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