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4·15 총선 1호 공약이었던 무료 와이파이 확대 공약이 현실화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일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하나로 행정복지센터, 도서관, 버스정류장 등 국민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연말까지 무료 와이파이 1만 개소가 추가로 구축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정보화진흥원, 사업자(KT)간 협약서를 체결했다.
무료 와이파이 4만개 구축
국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공장소에 무료 와이파이가 올해 말까지 1만개소, 2022년까지 4만1000개소가 추가 구축된다. 올해 1만곳, 내년 1만5000곳, 2022년 1만6000 곳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개 광역시도로부터 구축장소 수요 발굴·구축 사업자(KT) 선정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지자체-정보화진흥원-사업자간 협약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정부와 KT가 상호출자 방식으로 진행하며, KT 투자 규모는 180억원 수준이다. 올해부터는 실내 위주의 구축에서 벗어나 지역 소규모 공원, 체육시설 등 취미·여가활동을 위해 국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실외 생활시설 위주로 공공 와이파이를 구축할 예정이다.
구축 필요성은 높으나 투자비 등의 이유로 우선순위에서 제외됐던 도서지역이나 주민센터, 보건소, 도서관, 터미널, 버스정류장 등 공공장소 등에도 공공 와이파이가 구축된다. 2014년 이전 설치한 노후 공공 와이파이 1만8000개 AP는 최신 장비로 연내 교체해 서비스 품질을 강화할 방침이다.
KT,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사업 참여
한편 KT는 공공와이파이 구축과 더불어 도시·농촌간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 사업에도 참여해 233개 마을에 초고속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KT는 지난 7월부터 '한국판 뉴딜 협력 TF'를 운영 중이다. KT의 ICT 역량을 동원해 디지털 인프라 구축, 비대면 산업 육성,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등의 사업을 빠르게 추진할 수 있도록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