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SK텔레콤)

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 28㎓ 대역 상용화를 앞당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이동통신 3사와 삼성전자, 국내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통해 5G 28㎓ 대역 사업 활용을 결정했다.

28㎓ 대역을 활용해 5G 정부업무망을 고도화하고, 모바일에지컴퓨팅(MEC) 기반 5G 공공선도 모델을 발굴할 예정이다. 정부와 공공기관이 5G 28㎓ 대역 테스트베드로, B2G 사업을 통해 5G 이용을 활성화한다는 복안이다.

정부업무망 사업에는 28㎓ 기지국 설비 투자를 의무화하고, 5G 공공선도 모델 사업에는 권장한다. 내년까지 과기정통부와 지방자치단체 2곳, 공공기관 2곳 등 총 5곳 정부업무망을 5G 기반으로 고도화한다.

기존 유선 기반 정부업무망에 5G 소형기지국(스몰셀)·단말,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 암호화·인증 솔루션 등 적용해 정부 업무환경을 모바일 기반으로 전환하는 게 주요 목표다.

정부업무망은 반드시 28㎓와 3.5㎓ 기지국을 병행 활용해야 한다. 5G 공공선도 모델은 정부업무망처럼 28㎓ 기지국 운영이 의무사항은 아니나 28㎓ 대역 활용시 가점을 주는 등 28㎓ 투자를 유도한다.

정부는 하반기 공공사업을 시작으로 민간으로 5G 28㎓ 활용을 확산하고 5G 산업 선도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사전규격공고에 이견이 없는 한 28㎓ 기지국 활용 방안을 확정한다.

전자파 측정시간 단축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5G 휴대전화를 출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전자파 측정’에 걸리는 시간을 LTE 수준으로 단축한다고 13일 밝혔다.

28GHz와 3.5GHz 5G 단말 신제품 출시가 빨리 이뤄지도록 지원하겠다는 내용이다. 휴대전화가 출시되려면, 전자파 인체보호기준에 적합한지 전자파 인체노출량을 시험해야 한다.

LTE와 달리 5G는 안테나가 많고 여러 빔(beam)을 사용하는 관계로 인증시험을 위한 측정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개선된 지침을 적용했을 때 28GHz 5G 휴대전화 측정시간은 LTE와 유사한 40일 수준으로 단축되고 비용도 절감될 것으로 보인다. 당초 방식대로라면, 28GHz 5G 단말을 측정하려면 6개월가량 소요된다.

상용화는 내년에나
정부가 5G 단말 조기 출시 지원에 나섰지만, 28GHz 상용화는 내년에야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통신3사는 28GHz 연내 상용화 계획을 발표했다. 통신3사는 정부에 제출한 주파수 활용계획에 따라 각각 1만5000개씩 28GHz 기지국을 연내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통신3사는 의무설치 기지국 수만 충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음 달 공개되는 삼성전자 ‘갤럭시노트20’도 당초 예상과 달리 28GHz 지원 모듈이 빠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