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충전요금 인상

7월부터 전기차 충전요금 인상과 충전기 기본요금 부과가 시작된다. 전기차 시장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충전요금 인상

전기차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 충전 인프라도 느리지만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 내년 후반부터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에서 전기차가 본격 생산된다. 다수의 국산 전기차가 등장을 예고하고 있기도 하다.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 대수를 지난해 4만2000대에서 올해 6만5000대로 늘려 잡았다. 하지만 대신 대당 보조금은 900만 원에서 800만 원으로 깎았다. 대당 보조금 축소는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 보조금을 축소한 덴마크에서는 전기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70%가량 줄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8년 1200만 원이던 보조금을 지난해 900만 원으로 축소하자, 1만 대에 해당하는 보조금이 불용예산으로 남았다. 정부 예상만큼 전기차가 팔리지 않았다는 얘기다. 이런 와중에 다음 달부터는 전기차 충전요금도 오를 예정이다. kwh당 급속 충전요금은 현재 173원에서 230원 전후로, 완속 충전요금은 최저 60원에서 100원 초반까지 각각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충전기 요금 인상은 사실 예상했던 부분이다. 특히 공공용 급속 충전기는 목적 자체가 일반 충전보다는 비상충전이나 연계충전이 목적인만큼 요금인상은 필요하다. 전기차 열풍은 사실 과도한 보조금과 충전요금 할인이 만들어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요금인상의 영향이 전혀 없을 수는 없다.

 

충전인프라에 미칠 영향

문제는 요금보다 오히려 전기충전 인프라다. 급속충전비가 상승한다고 해도 약 30% 정도 인상인 만큼 큰 부담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충전 인프라는 지금도 소비자의 만족도를 크게 밑돈다. 지난 4월까지 전국적으로 공공용 완속과 급속 충전기수는 2만기를 넘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찾기에는 아직 불편하다. 다음 달부터 충전요금까지 인상하며 아울러 전기 충전기에 대한 기본요금까지 부과된다. 기본요금은 충전기 설치 시 전기 인프라 확장 등을 위해 활용하는 비용이다. 전기 관련 설비 설치 시에 한전에서 부과하는 비용으로 그 동안 주관부서인 환경부는 민간 기업을 독려해 보조금 등을 주면서 충전기 설치를 유도했다. 충전기중 상당 수가 수익이 없는 상태에서 기본요금을 부담해야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기업에서 설치한 충전기에 대한 기본요금은 기업이 직접 부담해야 한다. 자칫 수익이 저조한 충전시설 철거로까지 이어져 오히려 충전인프라를 감소시키는 상황으로 이어 질 수도 있다. 이는 결국 전기차 충전인프라에 대한 불만으로 연결될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충전기시장

전기차가 사용하는 전기의 양은 결코 만만치 않다. 60㎾h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를 한 번 충전하려면 5가구(4인 가족)가 하루에 사용하는 전기가 필요하다. 2030년까지 전기차를 300만대로 늘리겠다는 것이 정부의 목표다. 전기차 충전기 시장도 급성장이 예상된다. 기업들의 움직임도 부산하다. 테슬라는 전용 충전기 ‘슈퍼차저’를 앞세우고 있고, 이에 맞서 포르쉐는 급속충전소 ‘HPC’를 통한 충전 인프라 구축에 나서고 있다. 포르쉐코리아는 이마트 성수점과 양재점을 비롯, 전국 10개 주요 장소와 9개 공식 전시장 등에 320㎾ 초급속 충전기를 배치한 ‘포르쉐 HPC 충전소’를 구축한다. 각 충전소에는 2개 이상의 충전기를 설치한다. 동시에 전국 50여 곳에 달하는 ‘포르쉐 데스티네이션'에 7㎾급 완속 충전기 120여 기도 보급한다.

LS그룹은 전기차 충전기 완제품 시장에 다시 진출한다. 2014년 충전기 산업에 대한 중소기업 적합업종 논란이 제기되면서 사업을 중단한 후 6년 만이다. 초급속 충전기 위주로 국내외 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