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10일까지 계획서 제출
행정안전부가 지역 주민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첨단 기술 활용 스마트서비스 지원 사업’ 공모를 9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첨단 기술 활용 스마트서비스 지원은 주민과 함께 인공지능, IoT, 챗봇 등 첨단 정보기술을 활용해 농어민, 장애인 등 취약계층 지원, 공공서비스 사각지대 해소 등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3개 유형 사업에 70억원(국비 35억원, 지방비 35억원)·11개 지자체를 지원한다.
우선 타운조성형은 ‘군’ 단위 농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고령층에 특화된 웰에이징타운, 공공 Wi-Fi 존을 활용한 유해 조수 퇴치, CCTV안심타운, 가상·증강현실 기반의 로컬푸드 판매 및 체험관광 등 지역에 특화된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는 2~3개 복합 스마트서비스에 대해 지자체별로 12억원을 지원하며, 총 4개 지자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공공서비스 사각지대형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상대적으로 소외받는 디지털 약자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이다. 디지털 정부의 혜택에서 소외받는 사람이 없도록 장애인, 고령자, 아동 등 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 모델을 지자체 실정에 맞게 개발해 제안할 수 있다. 2개 과제를 선정할 예정이며, 과제당 6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 커뮤니티형 사업은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환경·복지 증진·주민 소통 등을 위한 디지털 서비스를 주민·전문가·공무원이 한 팀을 구성해 민·관이 함께 구현하는 사업이다. 기존에 발굴된 사례 중 환경·장애인 권리 보장·고령화 대응·아동 및 사회적 약자 돌봄·주민 소통 분야에서 주민 체감이 높은 우수 사례를 참고해 지역 특성과 현안에 맞도록 구체적 계획을 수립해 제안할 수 있으며 총 5개 과제, 과제당 2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참여를 희망하는 주민 및 지방자치단체는 사업계획서를 4월 10일까지 시·도를 거쳐 행정안전부로 제출하고, 사업타당성·효과성·추진역량 등을 고려한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6월까지 타운조성형 4개·공공서비스 사각지대형 2개·스마트 커뮤니티형 5개 등 총 11개 지자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