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국민의 정보화 수준의 69.9%, 정보화 격차 커
디지털 기지나 정보를 비교적 익숙하게 접하는 일반 국민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100이라고 하면, 정보취약계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69.9%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은 91.7%, 역량은 60.2%, 활용은 68.8% 수준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장애인․고령층․농어민․저소득층의 디지털정보화 수준에 관한 ‘2019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과기부에 따르면 그나마 매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 그럼에도 격차가 매우 큰 편이다.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는 정보취약계층의 PC․모바일 등 유․무선 정보통신기기, 인터넷 이용 등 디지털정보에의 접근‧역량‧활용 수준을 측정한 것이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15,00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 방식으로 진행했다.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디지털 접근수준 + 디지털 역량수준 + 디지털 활용수준이다. 디지털 접근수준은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 보유, 인터넷 접근 가능 정도이며, 디지털 역량수준은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인터넷의 기본적인 이용 능력이다. 디지털 활용수준은 컴퓨터․모바일 스마트기기․인터넷의 양적․질적 활용 정도다.
이를 종합한 취약계층별 디지털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에 비해 저소득층이 87.8%, 장애인이 75.2%, 농어민이 70.6%, 고령층이 64.3%로 나타났다. 과기부는 “정보 취약계층의 정보화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인공지능․빅데이터 기술과 무인정보단말(키오스크)과 같은 무인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디지털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계몽과 학습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상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