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채용'과 '기회균등채용'을 앞장서 구현해 온 삼성그룹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찾아가는 열린채용'으로 체용제도를 개편한다.

삼성그룹(회장 이건희)은 그룹의 '열린채용'과 '기회균등채용'의 철학가 정신을 그대로 살려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면서도 사회적 부담과 비효율을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찾아가는 열린채용'으로 체용제도를 개편하기로 했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현 채용시장은 지원자가 과도하게 집중되고 취업을 위한 시험준비마저 사교육 시장이 형성되는 등 인재선발 과정에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합리적 조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글로벌 무한경쟁을 피할 수 없는 기업으로서는 인재를 보다 다양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적극적으로 찾아가 채용하는 노력이 더욱 필요한 상황에 이를 채택하게 된 것이다.

가장 대표적인 방안으로 대학 총학장 추천제를 도입한다.

심화되는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우수인재를 찾아 능력있는 사람에게 기회를 주고 대학에서 평소 학업과 생활에서 인정받는 우수인재가 우대받을 수 있는 체용제도로 개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업에 충실한 준비된 인재의 적극적 발굴을 위해 대학 총학장 추천제를 도입하여 전국 모든 대학의 총학장으로부터 인재를 추천받아 채용과정에서 우대할 예정이다.

총학장 추천제로 5천명 가량 인재를 발굴할 예정이다. 대학별 채용인원 배정은 해당 대학의 삼성 입사 실적 등을 고려해 정해진다.

대학총학장 추천제는 인재선발의 기능을 대학과 기업이 협업하는 새로운 시도로 대학 사회에서 인정받는 역량있는 인재의 추천을 통해 면학분위기 유도와 우수인재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삼성은 이들 외에 다른 지원자들은 서류전형을 통해 입체적으로 준비된 인재를 선발한다. 따라서 향후 삼성그룹 계열사 입사 절차는 ‘찾아가는 열린 채용 발굴 또는 대학총학장 추천→SSAT 응시→면접’, ‘서류전형→SSAT 응시→면접’으로 바뀐다.

연구개발직, 소프트웨어 인력, 영업마케팅직, 디자인ㆍ광고직은 산합협력 과제, 직무관련 경진대회 실적, 인턴십ㆍ실무경험 추천 등으로 인재발굴 방식이 다변화된다.

특히 소프트웨어 인력은 인문ㆍ이공 통섭형 인재 확보에 주력하기로 했다. 이인용 사장은 “어학연수나 직무와 무관한 자격증 등 ‘보여주기식의 불필요한 스펙’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집중되지 않는 스펙은 오히려 불리할 수 있으며 서류전형으로 정성평가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은 서류전형 도입으로 연간 20만명에 달하는 SSAT 응시자가 대폭 줄어들 것으로 기대했다. 과도한 사회적 비용 완화와 탈락자 대량 양산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삼성은 설명했다.

SSAT도 지식ㆍ암기력 중심에서 논리력 중심으로 개편한다. 오랜 기간 독서와 경험을 통해 개발된 논리적 사고력으로 풀 수 있는 문제를 낼 것이라고 삼성은 설명했다.

또한 삼성은 이르면 이달 말이나 2월 초부터 수시 지원 시스템을 개설, 연중 채용 접수를 시작할 계획이다. 삼성은 매년 4월과 10월 상하반기 신입사원 공채의 기본 틀과 전체 채용인원에서 지방대 출신 35%, 저소득층 5%의 비중은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1995년 열린 채용 체제로 전환하면서 폐지한 서류전형을 19년 만에 다시 도입해 사교육 시장이 형성된 삼성직무적성검사 SSAT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방침이다.

한편, 이인용 사장은 “열린 채용과 기회균등의 정신을 살리기 위해 제도를 개편했다”며 “입사 사교육 시장이 형성되고 사회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에 대한 고민에서 나온 개편안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