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구진이 추출 기술 개발
국내에서 플라스틱의 대명사 페트병을 의약품 원료 등으로 재탄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김희택·주정찬·차현길 박사, 고려대 김경헌 교수, 이화여대 박시재 교수 등은 PET를 의약품과 플라스틱 원료 등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연구진은 물을 이용해 PET를 단량체(단위 분자)로 친환경적으로 분해하고, 이를 미생물을 이용해 유용한 소재들로 전환하는 전략을 설계했다. 물 분해로 테레프탈산과 에틸렌글리콜이 발생하면 이 물질을 다시 미생물을 이용해 유용한 소재로 전환하는 것이다,
.테레프탈산은 갈산, 카테콜 피로갈롤, 뮤콘산, 바닐락산이 되고 에틸렌글리콜은 글라이콜산로 바뀐다. 의약품과 플라스틱 원료, 방향 성분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대표적으로 갈산은 의약품(항산화제) 중간체, 뮤콘산은 플라스틱 단량체, 바닐락산은 의약 및 화장품용 방향 성분으로 쓰인다. 다양한 소재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PET 재활용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연구에서 페트병이 다양한 소재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된 만큼, 기존 재활용 방식의 한계가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버려지는 플라스틱 감축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인 ACS Sustainable Chemistry & Engineering(지속 가능 화학 및 공학) 12월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