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홈 구현을 위해 협력

글로벌 정보기술시장의 세 공룡, 아마존과·구글, 그리고 애플이 손을 잡는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은 18일(현지시간) 글로벌 정보기술(IT) 공룡, 아마존,·구글·애플이 AI 스피커를 중심으로 ‘적과의 동침’을 결심했다고 보도했다.

세 기업은 ‘스마트홈’ 구현을 위한 음성인식·사물인터넷(IoT) 표준 기술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아마존, 구글, 애플 등 업체별로 나뉘어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가전기기 제어용 ‘스마트 홈’ 시스템이 호환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그비 얼라이언스 회원사인 삼성스마트싱스, 이케아, 시그니파이(옛 필립스) 등도 이번 파트너십에 참여한다.

지금까지 아마존·구글·애플 3사는 각각 스마트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여왔다.

아마존의 ‘에코’, 구글의 ‘구글홈’, 애플의 ‘홈키트’는 그동안 제각기 개발한 스마트 홈 시스템에만 적용할 수 있는 관련 전자기기 판매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여 왔다. 하지만 다른 기술과 방식으로 소비자와 가전제품 제조사에게 혼란을 줬다. 스마트 홈 시스템 관련 전자기기를 만드는 제조업체들도 3개 회사의 시스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이 때문에 스마트홈 시장은 전문가들 예상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못했다.

미국 CNBC 방송도 “아마존, 구글, 애플과 양방향 근거리 무선통신기술규격 연합체인 지그비 얼라이언스가 ‘프로젝트 커넥티드 홈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체결했다”고 전하면서 “표준 기술이 나온다면 스마트홈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했다.

글로벌 시장분석기관 IDC가 9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 홈 기기 시장은 올해 23.5% 성장했으며 약 8억1500만개의 관련 제품이 판매됐다. 2023년에는 약 13억9000만 개의 기기가 판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아마존, 구글, 애플은 “세 업체의 이번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안전하고 믿을 수 있으며 아무 막힘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시스템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업체들은 “2020년 말에 통합 시스템의 규격과 오픈소스를 공개하겠다”며 “화재감지기, 가스보일러의 일산화탄소누출 감지기, 스마트 도어잠금장치와 도난방지 시스템, 창문 햇빛 가림막 등에 통합 시스템을 먼저 적용한 뒤 차츰 상업용 기기까지 호환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결국 IT 시장의 주도권이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이제 다시 AI 스피커로 이동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IT 조사 기관 가트너는 “아마존·구글·애플은 가전 기기를 팔아 수익을 얻겠다기보다는 AI 스피커를 확산시켜 충성스러운 사용자를 대거 확보한 뒤, 그들을 자사 생태계 안에 평생 머물게 하겠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