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 내 집 마련에 21년 걸려

서울 시내 재건축·재개발 단지의 분양가가 4년 전보다 50% 이상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들어서만 30% 가까이 급등했다. 정부 지난해 9.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아직 시장 분위기 변화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로부터 받은 '서울 시내 정비사업장 분양승인가격' 자료에 따르면 서울시 재개발·재건축 단지의 올해 3.3㎡당 평균 분양가는 3,153만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격은 2015년 2,056만 원과 비교해 4년 만에 53%, 약 1,097만 원가량 오른 것이다.

직전 연도 대비 증감률은 2016년 9.95%, 2017년 -11.14%, 2018년 22.4%, 2019년 28.23%로, 최근 4년 중 올해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주택도시보증공사는 올해 6월 분양 지침을 개정해, 주변에 분양 후 1년 이상 지난 아파트가 있다면 신규 분양가는 기존 아파트들의 평균 분양가보다 최대 5%만 더 받을 수 있게 했다. 주변에 준공 아파트만 있는 경우에는 신규 아파트 분양가도 기존 준공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넘지 않도록 정했다.

재건축ㆍ재개발 단지를 비롯해 높은 아파트ㆍ주택 가격으로 인해 서민들의 내 집 마련은 더욱 힘들어졌다는 분석 결과도 나왔다.

자유한국당 김상훈 의원이 국토교통부, 한국감정원, 통계청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지난 2015년 1분기부터 올해 2분기까지 소득 분위별 PIR(연소득 대기 주택구매가격 배수)을 산출한 결과, 전국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PIR은 2017년 2분기 16.4에서 올해 2분기 21.1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PIR이 21.1이라는 것은 1년 소득을 모두 저축한다고 가정해도 21.1년은 모아야 자기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최근 2년 동안 서민의 내 집 마련 기간이 전국적으로 4.7년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전국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PIR은 2017년 2분기 2.8에서 올해 2분기 3.0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에 따라 소득 1분위와 5분위 사이 PIR 격차는 2017년 2분기 13.6에서 올해 2분기 18.1로 차이가 더 커졌다.

이상호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