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일자리의 절반도 60대

고령화가 진전되면서 60대이상의 창업이 크게 늘고있다. 60대이상의 일자리도 많이 늘었다.

통계청이 26일 내놓은 '2018년 기준 전국 사업체 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사업체 수는 410만개, 종사자 수는 2220만명이다. 전년 대비 각각 8만개(2.1%), 57만명(2.6%) 늘어났다. 사업체 수 증가분(8만개) 중 63%인 5만개는 개인사업체 형태였다. 개인사업체는 개인이 혼자 소유·경영하는 자영업 등을 의미한다, 전년 대비 사업체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숙박·음식점업(1만8624개)이다. 운수업(1만3225개), 협회·기타서비스업(9922개), 부동산업(7934개), 전문·과학·기술업(7808개)이 그 뒤를 이었다.

숙박·음식점업에는 커피전문점·한식육류요리전문점·제과점업 등이 포함된다. 작년에만 카페·치킨집·빵집 등이 1만9000여개 오픈한 셈이다.

신규 사업체 대표자를 연령대로 보면 60대 이상이 5만5574명으로 6.4% 증가했다.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등 자영업 창업이 많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어 이런 현상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50대'가 1만7573명(1.3%), '30대'가 4257명(0.8%), '40대'가 3049명(0.3%), '20대 이하'가 2215명(2.2%)이다. 신규 사업체는 경기(3만510개·3.5% 증가)에 집중됐다. 경남(7196개·2.6%), 충남(5972개·3.6%), 경북(5961개·2.6%), 인천(5767개·2.9%) 순이다.

통계청이 함께 발표한 '1분기(2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서도 고령화에 따른 변화가 두드러졌다. 임금근로 일자리는 자영업·프리랜서 등이 아닌 기업 등에서 대가를 받고 일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올해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는 1824만8000개로 작년 1분기보다 50만3000개(2.8%) 늘었다. 증가분은 2017년 2분기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컸다.

연령별로 60대 이상 임금근로 일자리가 28만2000개 증가해 1분기 전체 증가분의 절반을 넘었다. 정부가 늘린 '노인 일자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정부 재정이 주로 투입되는 분야는 '보건·사회복지'와 '공공행정'인데, 이 부문 60대 이상의 일자리는 각각 9만8000개, 2만5000개 늘었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정부의 노인 일자리 사업은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0년 예산안에 따르면 내년에 정부는 3조원 가까운 재정을 투입해 노인일자리 74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통계청은 조사원에 의한 면접 조사를 통해 조사 기준일(2018년 12월31일) 현재 한국에서 산업 활동을 수행하는 종사자 1인 이상 모든 사업체를 대상으로 이 통계를 작성했다. 개인 농·림·어가, 군 부대, 노점상, 국제·외국 기관, 가사서비스업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