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 1,500호 예정
[애플경제=이상호 기자] 지방 중소도시나 읍․면지역에도 영구임대 등 공공임대주택이 대거 들어선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그동안 임대주택 공급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 각각 150호 내외의 영구임대, 국민임대, 행복주택 등을 짓는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이 이뤄진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약 1500호의 장기공공임대주택이 이들 지역에 공급된다.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은 지자체가 해당지역에 필요한 임대주택의 유형과 공급호수를 먼저 제안하는 수요 맞춤형 공급 방식이다.
건설비용 및 임대주택 건설·관리·운영 등은 정부 지원을 받은 사업시행자(한국토지주택공사)가 부담하게 되며 건설 사업비 중 일정부분(10%이상)은 해당 지자체에서 분담한다.
사업 대상지로 선정될 경우 공공임대주택 건설 사업과 함께 대상지 주변의 낙후된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주변지역 정비계획 수립도 지원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 18일 각 지자체들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 이후 각 지자체가 원하는 임대주택의 유형과 호수, 재원분담 방안, 마을계획안 등을 포함한 제안서를 작성하여 제출토록 할 예정이다. 사업시행자(한국토지주택공사)는 각 지자체가 제출한 제안서에 대해 사업자 검토의견을 제시하며 국토교통부는 현장조사 결과 및 입지 적정성, 수요 타당성 등을 종합 평가하여 11월 말(잠정)까지 사업 대상지를 결정한다.
이상호 기자
sangho1024@nat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