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4차산업혁명 핵심기술, 각종 행정업무에 본격 도입

[애플경제=김점이 기자] 정부 행정업무에도 블록체인, AI 등의 첨단기술이 본격 적용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 지능정보기술을 적용한 ‘전자정부서비스’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그 대상은 △인공지능 우범화물 검사대상 선별시스템 △지능형 스마트 선별관제 △블록체인 기반 원산지증명서 발급·교환 △지능형 대형생활폐기물 처리서비스 △대국민 인명구조 수색시스템 △IoT 기반 소외계층 공유차량 카쉐어링 서비스 등이다.
우선 수입화물 검사대상 선별에도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다. 기존에는 수입화물 중 테러물품, 마약, 밀수 등 우범화물을 선별‧검사하기 위해 2년 주기로 통계전문가가 분석 제시한 모델을 활용했다. 그러나 앞으론 AI기술과 수입통관자료를 접목, 다양하게 변화하는 우범화물 수입경로를 실시간으로 찾아낼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우범화물 선별체계’를 구축한다.
CCTV 통합관제센터에도 인공지능을 적용한다. 관제요원이 움직임이 있는 영상만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기존에는 관제요원 1인당 최대 48대의 CCTV만을 모니터링 할 수 있었으나, 앞으론 400대 이상의 CCTV를 관제할 수 있게 된다. 우선 경기도 화성시 전체 CCTV(7,700대)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구축하여 관제효율성 향상을 검증한 후 해당 모델을 타 지자체에 확산할 예정이다.
국가간 원산지 증명서 발급‧교환에 위변조가 불가능한 특성을 가진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 기존에는 수출입기업이 원산지 증명서 원본을 상대국가에 항공편 등으로 직접 제출해야 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시일이 소요되었다. 앞으론 블록체인망을 통해 진본성이 검증된 원산지 증명서를 국가 간에 즉시 교환 가능하게 됨으로써 수출입 기업의 물류비용을 크게 절감한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는 4월 3일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울 사무소에서 이같은 첨단 시스템 구축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IT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명회도 갖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