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경제=이상호 기자] 우리나라 인구 2.3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 누적 등록대수가 2016년도보다 72만 5천 대(3.3%) 늘어난 22,528,295대로 집계 되었다고 밝혔다.
전체 자동차의 등록대수 중 국산차는 약 2,063만 대(91.6%)이며, 수입차는 190만 대(8.4%)로, 수입차의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증가폭은 가장 많이 증가한 ’15년보다 약 1% 감소한 추세(‘15년 4.3%→’17년 3.3%)로 자동차 내수 진작을 위한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이 종료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난해 연료 종류별 자동차의 등록 현황을 살펴보면, 휘발유와 LPG차량은 등록 대수가 각각 1,037만 대, 210만 대로 비중은 지속해서 소폭으로 감소하는 추세이고, 경유차는 등록 대수가 958만 대로, 증가세가 둔화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의 “친환경차(Green Car) 보급 확대 정책”에 따라 친환경자동차(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의 등록대수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는 2016년 말에 등록대수가 10,855대 이었으나, 지난해 말에는 25,108대로 1년 만에 약 2.3배 증가하였고, 수소차도 지난해 말 170대로 전년 대비 약 2배 증가하였다. 이는 전체 등록차량 중 친환경차의 비중이 1.5%를 넘어서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자동차 신규 등록대수는 184만 5천 대로 ’16년 183만 6천 대 보다 9,480대가 증가했다.
국산차는 156만 9천 대(85.0%)이며 수입차는 26만 8천 대(14.6%)로, ‘16년 대비 국산차는 0.4% 증가하고, 수입차는 0.1% 감소했다.
자동차 이전등록건수는 373만 건으로 ’16년 378만 건 보다 46,415건(1.2%)이 감소했으며 사업자 거래는 226만 9천 건(60.1%)으로 ‘16년에 비해 2.5% 감소하였고, 개인 간 거래는 138만 9천 건(37.2%)으로 ‘16년에 비해 1.1% 증가했다.
지난해 말소 등록된 자동차는 112만 대로 ’16년 102만 2천 대 보다 9만 8천 대(9.6%) 증가했다.
차종별로 살펴보면 특수자동차가 가장 많은 증가율(38.7%)을 보인 반면, 승합자동차는 2016년 대비 말소 등록이 2.5% 감소했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말 기준 전국 자동차등록대수가 2,253만 대를 넘어섰고 올해에도 친환경 자동차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앞으로도 친환경차 보급·확대를 위한 맞춤형 통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