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경상흑자 57.2억달러…68개월 연속 불구 흑자폭 줄어

▲ 자료=한국은행

[애플경제=이해리 기자] 10월 서비스수지가 역대 최대 적자를 내면서 경상수지 흑자 폭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들었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여파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여행객은 줄고 최장기 황금연휴에 해외로 나가는 여행객은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17년 10월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올 10월 상품과 서비스 등을 포함한 경상수지 흑자는 57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68개월 연속 사상 최장 흑자 행진을 이어갔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76억9000만 달러)에 비하면 흑자 폭은 쪼그라들었다. 6개월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서비스수지 적자가 사상 최대 적자를 낸 영향이 컸다. 서비스수지 적자규모는 여행수지 악화 등으로 전년 동월 17억9000만 달러에서 35억3000만 달러로 확대되며 사상 최대 적자폭을 기록했다.

여행수지 적자는 16억7000만 달러로 지난 7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4억9000만 달러)보다 3배 넘게 늘었다.

사드 배치 이후 중국 당국의 제재로 우리나라를 찾은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급감한 여파가 계속 된데다 다른 나라로부터의 여행객도 발길이 뜸했다. 10월 우리나라에 들어온 외국인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6% 감소했고, 이 중 중국인 입국자는 49.3% 급감했다.

반면 우리나라 해외여행객은 증가세가 이어졌다. 최장 10일에 이르는 '황금연휴'를 맞아 10월 우리나라 출국자 수는 223만2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6% 증가했다.

이에 따라 10월 외국인 관광객이 국내에서 쓴 돈을 의미하는 여행수입은 10억8000만 달러, 내국인 관광객이 해외에서 지출한 여행지급은 27억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전월대비 모두 여행수입은 감소했고 여행지급은 증가했다.

운송수지와 건설수지, 지적재산권사용료수지, 기타사업서비스수지도 일제히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해외광고, 컨설팅서비스, 계열사 간 자금결제 등 기타사업서비스수지가 13억7000만 달러로 적자 규모가 컸다.

글로벌 교역 회복, 반도체 시장 호조의 영향으로 상품수지도 8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91억6000만 달러)보다 소폭 줄었다.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1% 늘어난 444억3000만 달러로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수입은 358억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6% 늘었다. 

급료, 임금, 배당 등 투자소득인 본원소득수지는 11억7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이전소득수지는 5억2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상품·서비스 거래가 없는 자본 유출입을 보여주는 금융계정은 10월 중 84억4000만 달러 순자산 증가를 기록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와 외국인 국내투자가 각각 2억1000만 달러, 1억4000만 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2015년 9월 이후 2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글로벌 주식시장의 호조로 인해 해외주식투자는 늘었지만 세계적 금리인상 가능성이 대두되면서 해외채권투자는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파생금융상품은 5억6000만 달러 감소를 나타냈다. 

이밖에 기타투자는 자산이 32억3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 부채는 44억4000만 달러 감소했다. 

반면 준비자산은 14억3000만 달러 증가했다. 

통관 기준 10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1% 증가한 449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반도체, 선박 등은 증가한 반면, 가전제품, 자동차부품 등의 수출이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 중국, EU 등에 대한 수출은 증가한 반면 중동, 중남미 등은 감소했다. 

통관 기준 10월 수입은 378억2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7.9% 증가한 수치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