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경제]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전국적으로 잇따라 흥행 하면서 건설업계의 중요한 먹거리로 부상했다. 서희건설은 상반기 정비사업 수주액이 1조원을 넘어서면서 ‘1조 클럽’에 가입하는 쾌거를 올렸다.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희건설은 올 상반기 정비사업 수주액이 1조973억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하며 대림산업(000210)(1조5954억원), 포스코건설(1조358억원)과 함께 나란히 ‘1조 클럽’에 가입했다.
지역주택조합아파트 사업의 비중이 높았던 서희건설은 올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눈에 띄게 확장됐다. 올 들어 3876억원 규모의 청주 사모1구역 주택 재개발사업과 6449억원 규모의 일산2재정비촉진구역 시공사로 연이어 선정됐으며, 지난 6월에는 648억원 규모의 남양주 도곡1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수주하기도 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서희건설은 그동안 쌓아온 지역주택조합사업을 기반으로 재건축·재개발, 뉴스테이 등으로 주택사업을 다각화하고 있다”며 “주택조합사업 덕분에 안정적인 매출이 보장되면서 이익은 많이 남지만 리스크가 큰 일반분양사업에 얽매이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7월 광명 10R구역 재개발사업의 시공사로 선정돼 첫 수도권 정비사업에 진출한 호반건설은 올해에도 성북구 보문5구역 재개발 시공사를 맡게 되면서 서울지역 정비사업에 공격적인 수주 행보를 보이고 있다.
여기에 서울 강남권 아파트 재건축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7차 재건축 시공권을 두고 대형건설사인 대림산업과 2파전으로 맞대결을 펼치고 있어 오는 29일 시공사 선정에 눈길을 끈다. 통상 자금력이 뒷받침되는 대형사만 참여했던 강남권 재건축단지에 중견사가 입찰에 참여하면서 시공사 선정 결과가 주목되는 이유다.
태영건설도 지난 1월과 4월 경북 포항시 장성동(포스코건설과 컨소시엄)과 경기 의왕시 재개발 사업을 수주하며 도시정비사업에 적극 나서고 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중견사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토지비로 안정된 사업을 펼칠 수 있는 공공택지사업에 주력해왔다”며 “주택공급 과잉 우려로 공공택지 지정이 중단되다보니 사업할 부지가 부족해 정비사업 수주에 사활을 걸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