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 전남광양경찰서 생활안전계 순경 선형이

 

추석을 글자대로 풀이하면 가을 저녁, 나아가서는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는 뜻으로 달이 유난히 밝은 좋은 명절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어원 자체에서도 느껴지다 시피 추석은 우리나라 제일의 명절이다.

이렇게 좋은 의미를 가진 명절인 추석에 찬물을 끼얹고 가족은 물론 더나아가 나 자신에게 조차 상처를 남기는 심각한 범죄가 있는데 그것이 바로 ‘가정폭력’이다. 추석날 타지에 있다가 가족 여럿이 모이다보면 서로 좋은 이야기가 오고가며 즐거운 분위기가 이뤄지는게 일반적이지만 몇몇 가족은 술이 들어가고 그동안 서로 못한 마음속에 쌓여있던 취직·결혼·재산 등을 불만 섞이게 말하다 보면 서로 말다툼을 하다가 결국에 폭발하여 주먹이 오가며 폭력으로 번지는 것이다.

이런 심각성을 고려, 가정폭력 상황에 대하여 경찰청이 발표한 최근 자료를 보면 2013년 776건, 2014년 774건, 2015년 964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이며, 이중에서도 눈에 띄는게 명절 연휴 기간 평균 873건으로 평상시 562건보다 1.6배가 많은게 주목할만한 점이다.

이에 따라 경찰에서는 가정폭력 사건을 반영하여 종합치안대책을 명절마다 발표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도록 지시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폭력 사건이 112 신고로 접수 되었을때는 사건의 경중을 따지지 않고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하여 현장에서 주의깊게 대상자들에게 신고내용에 대해 듣고, 피해유무가 확인되어 피해자 발견시 피해자 응급조치와 다친부분이 있다면 의료기관으로 인계를 하고 보호시설로 가고싶은지 동의를 얻은 후 보호시설로 인계를 한다. 또 가해자는 신속히 피해자와 분리하여 긴급임시조치 등 상황에 맞는 조치를 하고 있다.

경찰이 이렇게 적극적으로 대처하여도 정작 피해자들은 가정폭력을 집안일이라는 사상이 남아있어 경찰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되면 경찰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고 만다. 피해자 본인이 가정폭력은 단순히 개인·가족의 문제가 아니라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고 생각하고 가정폭력의 징후가 있거나 피해를 보면 가정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숨기지 말고 본인의 적극적인 의지를 피력해 신고를 하여야 가정폭력을 조기에 예방하고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로 나아갈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