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주도 '해외건설·플랜트 수주 선진화 방안' 일환

[애플경제=장가람 기자] 중소·중견 건설사들의 해외진출 지원을 위한 '공동보증 제도'가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28일 수출입은행은 공동보증 지원부이행서보증서의 첫 발급을 알렸다. 해외건설·플랜트 정책금융 지원센터에서 이번에 발행된 규모는 약 970만 달러다.
해외건설·플랜트 정책금융 지원센터란 정부의 해외건설·플랜트 수주 선진화 방안으로 지난해 1월 수출입은행 본점에 설치됐다. 현재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은행, 건설공제조합, 해외건설협회, 서울보증보험, 플랜트산업협회 등 7개 기관이 모여 해외건설·플랜트 수주정보와 원스톱 금융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협력 기관들은 리스크를 공동으로 분담하는 조건으로 해외건설협회의 사업성 평가에 기반 중소·중견기업의 해외건설을 '공동보증'한다. 첫발행 된 '공동보증 지원부 이행성보증서'는 투르크메니스탄 국영가스회사의 석유화학제품 생산설비 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한 현대엔지니어링의 1차 협력사인 성창이엔씨에게 발급됐다. 성창이엔씨는 해외건설협회의 사업성평가서 양호등급 B+를 받았다.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산업은행, 서울보증보험이 각각 25%씩 동일한 비율로 보증을 제공했으며 산업은행(여수지점)이 대표로 이행서 보증서를 발급했다.
업계는 최근들어 해외 수주물량 감소, 신용도 하락에 따른 금융기관들 지원 기피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 신용도보다 사업성을 기반으로 금융기관이 리스크를 분담해 지원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반겼다.
센터 관계자는 "기관별 심사방식이 달라 어려움도 있었지만 합심해 공동 보증의 최초지원 결실을 맺었다"며 "앞으로 금융지원이 원활치 않아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들이 수주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다 활성화 시키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