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규정 위반․부실시공․담합입찰로 벌점부과 11차례
삼성물산(주)이 불명예스럽게도 ‘국내 건설업체 산업재해 1위’를 기록하고 부실시공, 담합입찰 등도 수두룩해 건설기술관리법 위반으로 각종 벌점을 11차례나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강동원 의원(남원· 순창)은 6일 열린 서울특별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서울시 지하철 9호선 부실시공 관련 증인으로 출석한 삼성물산 황한석 토목사업본부장에 대한 심문과정에서 이와 같이 확인됐다.
삼성물산(주)은 2012년 이후 2014년까지 최근 3년 동안 건설분야 산업재해로 인해 6명이 사망하고, 부상자도 404명 등 총 410여명이나 건설산업재해가 발생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에 140명(사망 2명, 부상 238명), 2013년에는 144명(사망 3명, 부상 141명), 2014년에는 126명(사망 1명, 부상 125명)에 달한다.
삼성물산(주)이 건설현장에서 최근 3년간 산업재해로 인해 피해를 입은 희생자 규모는 국내 도급순위 상위 30대 건설업체의 재해 희생자 전체 2,691명의 15.2%(410명)를 차지하는 규모다.
한편 2013년까지는 국내 건설업체 도급순위 1위는 현대건설(주)이 차지했으나 지난해는 삼성물산이 현대건설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 2013년까지 줄곧 도급순위 1위를 기록하던 현대건설(주)의 건설산업재해자 201명과 비교하면 2배나 많은 수치다.
2012년 이후 최근 3년간 국내 도급순위 상위 30대 건설업체의 산업재해로 인한 희생자는 총 2,691명(사망 213명, 부상 2,478명)에 이른다. 삼성물산의 건설산업재해의 심각성을 보여준 것이다.
그동안 삼성물산(주)은 안전제일과 도덕성, 준법 등을 강조해 왔지만 2013년 이후 3년간 각종 부실시공, 담합입찰, 건설기술관리법을 위반해 벌점을 부과 받은 사례가 11차례(8.4점 벌점)나 됐다.
2013년 이후에만 삼성물산(주)이 안전관련 규정을 위반해 벌점을 부과받은 사례도 3차례다. 서울시가 발주한 ‘서울 지하철 9호선 3단계 919공구 건설공사’에서 0.54점을 비롯해 안전벌점만 총 1.67점에 달한다.
이에 강동원 의원은 “앞으로 ‘안전제일’을 추구하는 삼성물산(주)이 국내 건설업체 산업재해 1위라는 불명예를 어떻게 극복하고 건설산업 재해를 얼마나 줄여 나갈지 지켜보겠다”면서 “삼성물산(주)은 안전제일, 정도경영을 말로만 내세우지 말고 실천하는 모습을 보이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