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청년들의 스펙쌓기 부담을 완화하고 직무능력 중심으로의 채용을 확산하기 위해 130개 공공기관부터 선도적으로 직무능력중심의 채용을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와 130개 공공기관은 24일 서울지방조달청 2층 PPS홀에서 “직무능력중심 채용 MOU 체결식*”을 갖고 직무능력중심의 채용을 확대하기 위해 함께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130개 공공기관은 금년 중 취업지원자의 직무수행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NCS 기반 능력중심 채용모델을 도입하고, 직무능력중심의 채용을 진행하기로 했다.

다만, 취업준비생 사전 준비, 평가문항 개발 등을 감안하여 단계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올해에는 전체 공공기관에서 1만 7000명 규모의 신규채용이 진행될 예정이며, 직무중심 면접 등을 통해 3,000명 수준의 채용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취업준비생의 차질없는 준비를 위해 △전공 필기시험 개편시 기관별 개편내용을 시행 1년 전에 미리 공고하여 취업준비생이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 △취업준비 매뉴얼, 면접 및 문제샘플 등 자료를 NCS 포탈 (ncs.go.kr)에 제공하고, 각 학교 및 취업준비관에 직접 배포 △3~4월 중 권역별 직무능력중심 채용설명회를 개최 △NCS 포탈에 Q&A 코너 마련 등을 통해 취업준비생에게 맞춤형 상담을 지원하고, 공공기관도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 채용 공시를 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공공기관이 직무능력중심 채용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다각적으로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공공기관에 직무분석·채용도구 개발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하고 인사담당자 교육, 채용 매뉴얼 제작·보급 등 추진하고, 직무능력 중심으로 교육·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학교, 직업훈련기관 등의 교육내용 개편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기획재정부·교육부·고용노동부와 공공기관 등은 실무협의체를 정례화하여 업무협약 이행에 함께 협력키로 했다.

이러한 직무능력중심의 채용 확산을 통해, 취업준비생의 과도한 스펙 쌓기 부담 완화하고 공공기관의 해당 직무에 맞는 능력을 갖춘 인재 채용을 기대하고 있다.

한편, 정부는 공공기관의 선도적 역할을 통해 우리 사회 전반의 직무능력중심 채용문화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