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

[애플경제] 뱅크런(Bank run)은 금융시장이 불안정하거나 거래은행의 재정악화 등 부실이 우려될 때 은행에 예금한 돈을 돌려받지 못하게 될 것을 염려한 예금자들이 예금을 인출하는 일이 대규모로 발생하는 사태를 의미한다.
단기간에 예금을 인출하는 예금자가 많아지면 은행에서는 당장 지급할 돈이 부족해 패닉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예금보험공사는 뱅크런으로 인한 은행의 위기를 막기 위해 은행 파산 시 5,000만원까지는 보호해주는 ‘예금자보호법’을 시행하고 있다.
한편, 펀드 투자자들이 펀드에 투자한 돈을 회수하는 사태는 펀드런(Fund run)이라고 하며, 뱅크런에서 유래됐다.
관련기사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CI(Corporate Identity)
- [오늘의 경제용어] B2B(Business to Business)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블록체인(blockchain)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비트코인(bitcoin)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O2O(online to offline)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AI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ICT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IT(information technology)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턴어라운드(Turn around)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S&P(Standard & Poor’s)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최저임금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어닝 쇼크(earnings shock)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추가경정예산(supplementary budget)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Start-up Accelerator)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스놉효과 (snob effect)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NIM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유동성함정 (Liquidity trap)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어닝 서프라이즈 (earnings surprise)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세일 앤 리스백(sale & lease back)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ELS(equity-linked securities)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ISA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펀드(fund)
- [애플경제 오늘의 경제용어] 핀테크(FinTech)
유현숙 기자
hun7587@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