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호흡기증후군 메르스 확진 환자가 3년 만에 발생한 가운데, 추석을 앞두고 일각에서 메르스발(發) 경제적 타격을 걱정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메르스가 국내 처음으로 발생한 건 지난 2015년으로, 발생 당시 우리 경제에 심각한 충격을 준 바 있다. 지난 2015년 6월 정부가 발표한 ‘메르스 관련 경제동향과 대응방안’에 따르면 당시 백화점, 대형마트 등의 매출액이 전년 동기대비 16.5%, 3.4% 각각 줄어 소비가 위축된 현상이 나타났다. 

또 관광·문화·여가 등 일부 서비스업도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화관, 놀이공원, 야구장, 박물관 등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눈에 띄었다. 

관광의 경우, 중국 20,556명, 대만 11,020명, 홍콩 1,412명 등 중화권을 중심으로 외국인 방한 취소객수가 증가했다. 이와 맞물려 이 기간 국제선과 국내선 모두 항공기 이용률이 줄었으며, 철도 이용률도 떨어졌다. 

외식산업도 메르스로부터 피해갈 수 없었다. 음식점 카드 사용액이 감소했으며, 외식업계 평균매출액도 감소해 메르스로 인한 불안심리가 경제 전반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여실히 증명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고용 부진, 소비심리 위축 등 내수 경색 국면이 지속되는 와중에 메르스로 인해 불안심리가 더해져 경제가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소비자들이 메르스 예방 차원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공간을 기피하면서 소비력이 크게 저하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반면, 메르스 발생 상황 자체보다 이러한 일각의 과한 우려가 오히려 소비심리를 더욱 위축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지금까지 확진 환자가 최초 발생 환자 1명 이후 나오지 않는 점을 들어 지난 정부와 달리 현 정부의 초동 대응이 비교적 잘 됐다는 평가다. 3년 전만큼 경제 전반에 심각한 위기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정부는 초동 대처에 미흡했던 지난 메르스 사태를 반면교사 삼아 ‘과잉대응’을 기조로 삼고 메르스 확산 방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잠복기가 남아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메르스가 확산되면 3년 전처럼 경제에 큰 타격을 입힐 수 있기 때문에 확산 방지를 위해 지속적인 대응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현숙 기자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