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종 비중은 2번째…증가폭은 6번째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OECD 가입국을 대상으로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하는 상태가 3년간 지속되는 ‘한계기업’ 비중을 조사했다.

그 결과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9년 기준 17.9%로 조사대상 24개 국가 중 다섯 번째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2019년 기준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17.9%로 조사됐다. 100개 기업 중 18개 기업은 2017년~2019년 3년간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했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OECD 24개국 중 다섯 번째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다시 말해 경영실적이 좋지 않은 기업의 비중이 OECD 국가 중 5번째로 많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OECD 평균 한계기업 비중 12.4%보다 5.5%p 높고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적은 나라인 일본(1.9%)보다는 16%p나 높다.

OECD 가입국 한계기업 비중 (제공=전경련) (자료= 캐피탈IQ 사용해 산출)
OECD 가입국 한계기업 비중 (제공=전경련) (자료= 캐피탈IQ 사용해 산출)

한국의 산업별 한계기업 비중을 조사한 결과 서비스업이 38.1%로 가장 높았다. 이는 OECD 서비스 업종 평균 한계기업 비중 10.1%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

조사대상 24개 국가 중 터기(40.0%)만이 유일하게 우리나라보다 서비스업종의 한계기업 비중이 근소하게 높았다. 코로나 19로 레저, 관광, 호텔업 등 서비스업종이 큰 충격을 받은 상황에서 향후 서비스업종의 한계기업 비중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업 한계기업 비중(2019년 기준) (자료= 캐피탈IQ 사용해 산출)
서비스업 한계기업 비중(2019년 기준) (자료= 캐피탈IQ 사용해 산출)

서비스업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한계기업 비중이 높은 산업은 부동산업(30.4%), 운송업(24.3%)이었다. 한편 한계기업 비중이 가장 낮은 업종은 식료품 소매업(4.7%)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은 2017년 15.4%에서 2019년 17.9%로 2.5%p 증가했다. 이는 조사대상 24개국 중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증가폭이 6번째로 큰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2019년 기준 한국보다 한계기업 비중이 높은 미국, 캐나다, 스페인, 그리스는 같은 기간 한계기업의 증가폭이 우리나라보다 낮다는 것이다.

미국 1.2%p, 캐나다 △3.2%p, 스페인 △4.0%p, 그리스 △5.1%p의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러한 추이가 계속된다면 OECD 국가 중 한국의 한계기업 비중 순위는 향후 더 나빠질 것으로 보인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서 향후 한계기업이 폭증할 우려가 큰 상황이고 한계기업의 증가는 국가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규제를 완화하고 친기업적인 환경을 만들어 한계에 다다른 기업들이 스스로 살아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애플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